보상 관련 행동의 도파민 신호 (2013)

전면 신경 회로. 2013 10 월 11; 7 : 152.

백종호.

출처

고려대학교 생명과학과 분자신경생물학 연구실

추상

도파민(DA)은 mesolimbic dopaminergic pathway를 통해 정서적, 동기적 행동을 조절합니다. DA mesolimbic 신경 전달의 변화는 보상 행동과 관련된 다양한 환경 자극에 대한 행동 반응을 수정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정신자극제, 남용 약물, 음식과 같은 자연적 보상은 중변연계 DA 시스템에 상당한 시냅스 변형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신경 특정 또는 회로 특정 유전자 조작과 함께 광유전학과 DREADD를 사용한 최근 연구는 보상 회로에서 DA 신호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켰고 약물 중독 및 섭식 장애와 같은 복잡한 행동의 신경 기질을 식별하는 수단을 제공했습니다. 이 검토는 보상 관련 행동 제어에서 D1 및 D2 수용체의 역할에 대한 개요와 함께 약물 중독 및 음식 동기 부여에서 DA 시스템의 역할에 중점을 둡니다.

키워드 :

도파민, 도파민 수용체, 약물 중독, 음식 보상, 보상 회로

소개

도파민(DA)은 뇌에서 우세한 카테콜아민 신경전달물질이며 흑색질(SN)과 복부 피개 영역(VTA)의 중뇌 뉴런에 의해 합성됩니다. DA 뉴런은 이러한 핵에서 시작하여 선조체, 피질, 변연계 및 시상 하부로 투사됩니다. 이러한 경로를 통해 DA는 동기 부여 및 정서적 행동뿐만 아니라 조정된 움직임 및 호르몬 분비의 제어와 같은 많은 생리적 기능에 영향을 미칩니다.Hornykiewicz, 1966; Beaulieu와 Gainetdinov, 2011; 트리치와 사바티니, 2012).

보상 관련 행동에서 DA 시스템의 규제는 주요 공중 보건 문제 인 약물 중독 및 음식 보상 비만과 같은이 회로의 기능 장애로 인한 심각한 결과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중독성 물질에 반복적으로 노출 된 후, 적응 행동이 조절 행동을 조절하고 감정적 및 문맥 적 행동의 조직을 담당하는 DA 중뇌 변연선 경로의 분자 및 세포 수준에서 발생한다는 것이 현재 잘 받아 들여지고있다.네슬러와 칼레 존, 2006; Steketee와 Kalivas, 2011). 중변연계 경로에 대한 이러한 변형은 심각한 부정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강박적인 약물 추구 및 약물 복용 행동이 지속되는 만성 재발 장애인 약물 의존으로 이어질 것으로 생각됩니다.s토마스 (Thomas) 등, 2008).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변연계의 글루탐산성 및 GABAergic 시냅스 네트워크도 약물 남용의 영향을 받으며, 이는 중독성 약물의 행동 효과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슈미트와 ​​피어스, 2010; 루셔와 말 렌카, 2011). 기음상당한 증거가 현재 mesolimbic DA 시스템의 실질적인 시냅스 수정이 정신 자극제 및 기타 남용 약물의 보상 효과뿐만 아니라 음식과 같은 자연 보상의 보상 효과와도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남용 약물이 이 회로에서 수정된 시냅스 강도를 유도하는 메커니즘은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사실, DA 보상 신호는 매우 복잡해 보이며, 예를 들어 행동 학습에서 예측 오류를 코딩하는 DAergic 응답을 밝힌 연구에서 입증된 것처럼 학습 및 컨디셔닝 프로세스에도 관련되어 있습니다.와이즈, 2004; 슐츠, 2007, 2012), 따라서 동기가 부여된 보상 관련 행동을 적절하게 이해하기 위해 회로 수준에서 미세 분석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광유전학과 신경 특정 또는 회로 특정 유전자 조작을 사용한 최근 연구는 이제 보상 회로에서 DA 신호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합니다.

이 리뷰에서는 코카인 중독 행동에 대한 최근 연구의 개요와 D1 및 D2 수용체의 조절 역할 맥락에서 음식 보상에 대한 일부 연구의 개요와 함께 보상 관련 행동에서 DA 신호에 대한 간략한 요약을 제공할 것입니다. 이러한 행동.

도파민 수용체

도파민은 1개의 막관통 도메인 G-단백질 결합 수용체 계열에 속하는 막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며, 활성화를 통해 1차 전령을 형성하고 특정 신호 경로를 활성화 또는 억제합니다. 현재까지 DA 수용체의 XNUMX가지 하위 유형이 서로 다른 종에서 복제되었습니다. 그들의 구조적 및 약리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일반적으로 두 그룹으로 세분되었습니다: DXNUMX을 포함하는 세포 내 cAMP 수준을 자극하는 DXNUMX 유사 수용체.디어리 등, 1990; Zhou 등, 1990) 및 D5(Grandy 등, 1991; Sunahara 등, 1991), D2를 포함하는 세포내 cAMP 수준을 억제하는 D2 유사 수용체(Bunzow 등, 1988; 달 토소 외, 1989), D3(Sokoloff 등, 1990) 및 D4(반 톨 등, 1991) 수용체.

D1 및 D2 수용체는 뇌에서 가장 풍부하게 발현되는 DA 수용체입니다. D2 수용체는 동일한 유전자의 얼터너티브 스플라이싱(alternative splicing)에 의해 생성된 XNUMX개의 이소형(isoform)을 갖는다.달 토소 외, 1989; Montmayeur 등, 1991). D2L 및 D2S로 명명된 이러한 이소형은 D29L의 추정되는 세 번째 세포내 루프에 존재하는 2개 아미노산의 삽입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며, 이 수용체 클래스를 특정 두 번째 메신저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세포내 도메인입니다.

D2 수용체는 시냅스전으로 국소화됩니다., D2 수용체 면역 반응성, mRNA 및 중뇌 전체의 DA 뉴런에 존재하는 결합 부위에 의해 밝혀졌습니다.Sesack et al., 1994), SN에서보다 VTA에서 D2 수용체 발현 수준이 낮음(하버 (Haber) 등, 1995). 이러한 D2 유형 자가수용체는 신경 흥분성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체세포성 자가수용체를 나타냅니다.y (Lacey 등, 1987, 1988; 치오도와 카파토스, 1992), 또는 말단 자가수용체, which는 주로 DA 합성 및 패키징을 감소시킵니다. (오날리 등, 1988; Pothos 등, 1998), 또한 임펄스 의존성 DA 방출을 억제합니다. (카스와 잔나이저, 1991; 케네디 (Kennedy) 등의 1992; Congar 등, 2002). 따라서 이러한 자가수용체의 주요 역할은 전체 DA 신경전달의 억제 및 조절입니다. 그러나 배아 단계에서 D2 유형 자가수용체는 DA 뉴런 발달에서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다고 제안되었습니다.Kim et al., 2006, 2008; 윤 외 2011; 윤과 백, 2013). 따라서 이러한 presynaptic D2 수용체의 세포 및 분자 역할은 더 탐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뇌에서 D3, D4 및 D5 수용체의 발현은 D1 또는 D2 수용체보다 훨씬 더 제한적이고 약합니다.

세포주에서 이종적으로 발현된 DA 수용체를 사용한 수용체-리간드 결합 검정 연구에 기초하여 주로 보고된 D1-유사 수용체 및 D2-유사 수용체에 대한 DA의 친화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D2 유사 수용체는 D10 유사 계열보다 DA에 대해 100~1배 더 큰 친화력을 갖는 것으로 보이며, D1 수용체는 DA에 대해 가장 낮은 친화력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Beaulieu와 Gainetdinov, 2011; 트리치와 사바티니, 2012). 이러한 차이는 DA 뉴런이 발화 특성에 따라 "긴장성" 또는 "위상성"의 두 가지 다른 패턴의 DA 방출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두 수용체에 대한 차등적 역할을 제안합니다. (그레이스 (Grace) 등, 2007). DA 뉴런의 저주파, 불규칙 발화는 낮은 기본 수준의 세포 외 DA를 생성하는 것으로 제안되었습니다. (그레이스 (Grace) 등, 2007), 버스트 발사 또는 "위상" 활동은 구심성 입력에 결정적으로 의존하며 보상을 나타내고 목표 지향적 행동을 조절하기 위해 시냅스 후 사이트로 전송되는 기능적으로 관련된 신호로 여겨집니다. (Berridge and Robinson, 1998; 슐츠, 2007; 그레이스 (Grace) 등, 2007). 따라서 DA 수준의 일시적인 증가로 이어지는 DA 뉴런의 파열 활동은 보상 회로의 핵심 구성 요소로 생각됩니다. (오버튼과 클라크, 1997; 슐츠, 2007). 결과적으로 저 친화성 DA 수용체로 알려진 D1 수용체는 DA 뉴런의 위상 폭발에 의해 매개되는 일시적인 고농도의 DA에 의해 우선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고토와 그레이스, 2005; 그레이스 (Grace) 등, 2007). 대조적으로, DA에 대해 높은 친화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D2-유사 수용체는 더 낮은 수준의 긴장성 DA 방출을 감지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웁니다. (고토 (Goto) 등, 2007). 그러나, 수용체 친화도의 측정이 이종 발현된 DA 수용체로부터의 리간드 결합 검정에 의존하고 하류 신호 캐스케이드에 대한 수용체의 커플링 능력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할 때, D2-유사 수용체가 기본 세포외 수준에 의해 우선적으로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추론하기는 어렵다. 다 생체내에서. 따라서, 이 두 가지 다른 수용체가 DA 뉴런 활동의 다른 패턴에 어떻게 참여하는지 설명해야 합니다. 생체내에서.

D1 및 D2 수용체에 의해 매개되는 신호 경로

D1- 및 D2-유사 수용체 부류는 이들이 조절하는 세포내 신호 전달 경로에서 기능적으로 상이하다. 포함하는 D1 유사 수용체 D1 및 D5, G 단백질 Gα를 포함하는 heterotrimeric G 단백질에 결합s 그리고 Gαolf증가된 아데닐릴 시클라제(AC) 활성 및 증가된 사이클릭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cAMP) 생산으로 이어지는 활성화N. 이 경로는 단백질 키나아제 A(PKA)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다양한 기질의 인산화와 즉각적인 초기 유전자 발현의 유도뿐만 아니라 수많은 이온 채널의 조절을 초래합니다. 대조적으로, D2 등급 DA 수용체(D2, D3 및 D4) Gα에 결합i 그리고 Gαo 단백질 및 ncAMP 생성을 부정적으로 조절하여 PKA 활성 감소, K 활성화+ 채널 및 수많은 다른 이온 채널의 변조 (케바비안과 그린가드, 1971; 케바비안과 칼른, 1979년; Missale et al., 1998; Beaulieu와 Gainetdinov, 2011).

PKA의 가장 잘 연구된 기질 중 하나는 DA- 및 cAMP-조절 인단백질, Mr ~32,000(DARPP-32)이며, 이는 protein phosphatase의 억제제이며 선조체의 중간 가시 뉴런(MSN)에서 주로 발현됩니다.헤밍스 등, 1984a). DARPP-32는 선조체 뉴런에서 DA에 대한 반응으로 세포 신호 전달의 조절에 관여하는 통합자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PKA에 의한 트레오닌 32에서의 DARPP-34의 인산화는 단백질 포스파타제(PP32; 헤밍스 등, 1984a,b). 선조체 뉴런을 발현하는 D1 수용체에서 D1 수용체 자극은 PKA 활성화에 반응하여 DARPP-32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는 반면, D2 수용체 발현 뉴런에서 D2 수용체의 자극은 트레오닌 32에서 DARPP-34의 인산화를 감소시킵니다. 감소된 PKA 활성화의 결과(Bateup 등, 2008). 그러나 칼모듈린 의존성 단백질 포스파타제 2B(PP32B; 칼시뉴린으로도 알려짐)에 의한 트레오닌 34의 탈인산화를 고려할 때 cAMP 독립적 경로가 DARPP-2의 D2 수용체 매개 조절에도 참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증가된 세포 내 Ca에 의해 활성화2+D2 수용체 활성화 후(니시 등, 1997). 이러한 발견은 DA가 DA-중심 신호 분자인 DARPP-32의 인산화 상태에 대해 양방향 제어를 발휘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DA 톤 하에서 두 종류의 수용체에 의해 매개되는 이러한 신호 경로가 뉴런 흥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뇌의 시냅스 네트워크 측면에서 시냅스 가소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상상할 수 있습니다. 발현되는 세포 유형 및 뇌 영역(Beaulieu와 Gainetdinov, 2011; 지로, 2012).

D2 수용체의 경우, D2 수용체가 번갈아 가며 접합되어 뚜렷한 생리적 특성과 세포 내 국소화를 갖는 이소형을 생성하므로 상황이 더욱 복잡해집니다.. 두 isoform의 정확한 비율은 다를 수 있지만 큰 isoform은 모든 뇌 영역에서 우세하게 발현되는 것으로 보입니다.Montmayeur 등, 1991). 실제로, D2 수용체 총 녹아웃(KO) 마우스의 표현형은 D2L KO 마우스의 표현형과 상당히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백 외, 1995; Usiello 등, 2000), 두 isoforms가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생체내에서. 의 최근 결과 Moyeret al. (2011) 차동 지원 생체내에서 D2 수용체 대체 스플라이싱에서 인트론 SNP(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를 가진 D2 수용체 유전자의 두 변종의 역할과 이러한 SNP와 백인의 코카인 남용 사이의 유전적 연관성을 보여주는 인간 뇌에서 D2 isoform의 기능.Moyer et al., 2011; Gorwood 외, 2012).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제의 활성화에서 DA-매개 시그널링

뉴런에서 특히 관심 있는 신호 전달 경로 중 하나는 D1 및 D2 수용체에 의해 활성화되는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 세포외 신호 조절 키나아제(ERK)입니다. 현재 ERK 활성화가 시냅스 가소성뿐만 아니라 세포 사멸 및 발달과 같은 뉴런의 다양한 생리적 반응에 기여하고 CNS에서 ERK 활동을 조절하면 다양한 신경생리학적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장과 카린, 2001; 스웨트, 2004; 토마스와 후가니르, 2004). 또한, ERK 활성화는 다양한 신경전달물질 시스템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이 과정은 복잡할 수 있지만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매개되는 신호 경로의 차등 조절에 따라 미세하게 조정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수용체를 통한 DA 자극 시 ERK 신호 전달의 생리학적 출력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은 흥미로울 것입니다.

이종 세포 배양 시스템에서 얻은 결과는 D1 및 D2 클래스 DA 수용체 모두 ERK1 및 2를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Choi 등, 1999; 범 외, 2004; Chen 등, 2004; Kim et al., 2004; 왕 (Wang) 등, 2005). D1 수용체-매개 ERK 단일화는 NMDA 글루탐테이트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을 수반한다.Valjent 등, 2000, 2005), 주로 striatum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D1 수용체 자극은 그 자체로 ERK 인산화를 매개할 수 없으며 오히려 내인성 글루타메이트를 필요로 한다.Pascoli 등, 2011). D1 수용체 활성화와 함께 활성화된 PKA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Thr-32에서 DARPP-34의 인산화를 매개할 수 있습니다. 인산화된 DARPP-32는 단백질 포스파타제 PP-1의 강력한 억제제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는 또 다른 포스파타제인 선조체 강화 티로신 포스파타제(STEP)를 탈인산화합니다. STEP의 탈인산화는 포스파타제 활성을 활성화하여 STEP이 ERK를 탈인산화하도록 합니다.Paul 외, 2003). DARPP-32는 또한 PP-1을 억제함으로써 ERK의 업스트림에서 작용하여 PP-1이 ERK의 업스트림 키나제인 MEK를 탈인산화하는 것을 방지합니다.Valjent 등, 2005). 따라서, D1 수용체 활성화는 STEP에 의한 탈인산화를 방지함으로써 ERK 인산화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ERK의 업스트림 키나아제의 탈인산화를 방지하는 역할도 합니다. 또한 D1과 NMDA 수용체 사이의 누화는 ERK 활성화에 기여합니다. 예를 들어, 최근 연구에서는 D1 수용체의 자극이 NMDA 수용체를 통한 칼슘 유입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과정은 Src 계열 티로신 키나아제에 의한 NMDA 수용체 NR2B 서브유닛의 인산화를 포함합니다.Pascoli 등, 2011). 이렇게 증가된 칼슘 유입은 Ras-Raf-MEK 캐스케이드를 통해 ERK를 활성화할 수 있는 칼슘 및 칼모듈린 의존성 키나아제 II를 포함한 많은 신호 경로를 활성화합니다.파사노 외, 2009; 쉬플렛과 발레인, 2011; 지로, 2012). 결과적으로, D1 수용체-매개 ERK 활성화는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신호전달과 혼선에 추가하여 포스파타제 및 키나아제에 의한 복잡한 조절을 이용한다.그림 Figure11).

그림 1   

D1 수용체-매개 ERK 활성화 신호 경로. D1 수용체-매개 ERK 단일화는 주로 선조체에서 발현되는 NMDA 글루탐테이트 수용체(텍스트 참조)와의 상호작용을 포함한다. D1 수용체의 자극은 불가능합니다. ...

D2 수용체-매개 ERK 활성화는 이종 세포 배양 시스템에서 보고되었다.Luo et al., 1998; 웨일스 외, 1998; Choi 등, 1999). D2 수용체 매개 ERK 활성화는 Gα에 의존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i 단백질 커플링, 그리고 최종적으로 ERK를 활성화하기 위해 다운스트림 시그널링을 활성화하는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의 트랜스활성화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Choi 등, 1999; Kim et al., 2004; 왕 (Wang) 등, 2005; 윤 외 2011; 윤과 백, 2013). Arrestin은 또한 D2 수용체 매개 ERK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제안되었습니다.범 외, 2004; Kim et al., 2004), 이는 β-arrestin/dynamin 의존적 방식으로 clathrin 매개 엔도사이토시스를 동원하여 MAPK 신호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Kim et al., 2004). Gq 단백질에 대한 D2 수용체 커플링의 추가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 Gq 단백질 매개 PKC 활성화는 ERK 활성화도 유도할 수 있습니다.Choi 등, 1999; 그림 Figure22).

그림 2   

D2 수용체-매개 ERK 활성화 신호 경로. D2 수용체 매개 ERK 활성화는 Gα에 의존합니다i 단백질 결합. 또한 D2 수용체-매개 ERK 활성화는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의 트랜스활성화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이 DA 수용체 매개 ERK 신호 전달의 생리학적 역할을 고려할 때, 중뇌 뉴런에서 DA는 중뇌 D2 수용체를 통해 ERK 신호 전달을 활성화하고, 이는 차례로 신경 세포에 중요한 전사 인자인 Nurr1과 같은 전사 인자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DA 뉴런의 발달(Kim et al., 2006). 또한, 우리의 최근 연구는 STEP 또는 Wnt5a가 D2 수용체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이 조절에 관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Kim et al., 2008; 윤 외 2011). 이러한 발견에 비추어 볼 때, 이 신호가 성인 뇌에서 DA 신경 전달에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여부는 흥미로울 것입니다.

그러나 등쪽 선조체에서 전형적인 항정신병 D2 계열 수용체 길항제인 할로페리돌의 투여는 ERK1/2의 인산화를 자극한 반면, D2 계열 길항제이기도 한 비정형 항정신병 클로자핀은 ERK1/2 인산화를 감소시켰다. , 할로페리돌과 클로자핀이 등쪽 선조체에서 뚜렷한 인산화 패턴을 유도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포지 외, 2003). 따라서, 이 D2 수용체-매개 ERK 신호전달의 생리학적 관련성은 열린 문제로 남아있다.

종합하면, D1 및 D2 수용체가 별개의 메커니즘을 통해 ERK 활성화를 유도한다는 것이 명백하며, 이러한 수용체의 활성화가 이를 발현하는 뉴런의 위치 및 생리학적 상태에 따라 다른 결과를 가질 수 있다고 상상할 수 있습니다.

약물 유발 행동에서 D1 및 D2 수용체의 역할

보상 관련 행동에서 D1 및 D2 수용체의 역할은 아형 특정 작용제 및 길항제를 사용하고 수용체 유전자 KO 마우스의 분석을 통해 약리학적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최근 광유전학의 발전과 서로 다른 유전적 조작이 있는 바이러스 벡터의 사용으로 이제 이러한 수용체의 기능적 중요성을 정교하게 조사할 수 있습니다. 생체내에서 (작업대 Table11).

표 1   

코카인 유발 행동에서 도파민 D1 및 D2 수용체의 역할.

코카인 유발 행동 감작

코카인과 같은 정신자극제에 노출되면 후속 투여의 운동 자극제 효과가 점진적이고 지속적으로 강화되며, 이는 감작으로 알려진 현상입니다.Robinson과 Berridge, 1993; Vanderschuren and Kalivas, 2000; Kalivas와 Volkow, 2005; Steketee와 Kalivas, 2011). 행동 감작 과정에는 두 가지 단계가 포함됩니다. 시작과 표현. 개시 단계는 매일 코카인 투여 후 증가된 행동 반응이 세포외 DA 농도의 증가와 연관되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행동 민감성은 코카인 투여를 중단한 후에도 계속 증가하며, 이 절차는 민감화의 발현으로 알려진 오래 지속되는 민감성을 생성합니다.Vanderschuren and Kalivas, 2000; 토마스 (Thomas) 등, 2001; Steketee와 Kalivas, 2011). 발현 단계는 약물 중단 후 지속적인 약물 과민성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일련의 신경 적응과 관련이 있습니다.Kalivas와 Duffy, 1990; Robinson과 Berridge, 1993). 이 현상은 주로 실험 동물에서 연구되었지만 행동 감작의 기저에 있는 신경 가소성은 인간의 강박적인 약물 갈망에 기여하는 신경 적응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Robinson과 Berridge, 1993; Kalivas 외, 1998). VTA에서 측좌핵(NAc) 및 전두엽 피질에 이르는 중변연계 DA 시스템은 글루탐산 회로와 관련하여 이러한 소성 변화의 중요한 매개체라고 제안되었습니다.Robinson과 Berridge, 1993; Kalivas 외, 1998; Vanderschuren and Kalivas, 2000).

코카인, 암페타민, 니코틴 또는 모르핀에 행동적으로 민감한 동물(Kalivas와 Duffy, 1990; 파슨스와 정의, 1993) 약물 노출에 대한 반응으로 NAc에서 향상된 DA 방출을 나타냅니다. 신경 전달 물질 방출의 변화 외에도 수용체에 대한 DA 결합은 행동 감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Steketee와 Kalivas, 2011). 예를 들어 반복적인 코카인 노출로 발생하는 VTA DA 뉴런의 흥분성은 D2 자가수용체 민감도 감소와 관련이 있습니다.화이트와 왕, 1984; Henry 외, 1989). 또한 D2 길항제인 eticlopride의 저용량을 반복적으로 VTA에 주입하면 자가수용체 선택적 반응이 일어나 암페타민에 대한 후속 반응이 강화된다.Tanabe et al., 2004).

많은 연구에서 D1 및 D2 DA 수용체가 코카인에 의해 유발된 운동 활동의 변화에 ​​차등적으로 관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예를 들어, 약리학적 접근법을 사용한 초기 연구에서 D1 수용체 길항제 SCH 23390으로 전처리된 쥐나 쥐는 급성 코카인 공격에 대해 약화된 운동 반응을 보인 반면 D2 수용체 길항제인 할로페리돌과 라클로프리드는 그러한 효과가 없었습니다.Cabib 등 1991; 우시지마 외, 1995; 험멜과 운터발트, 2002). 이러한 결과는 운동에 대한 코카인의 자극제 효과 조절에서 DA 수용체 하위 유형의 다른 역할을 제안합니다. 그러나 코카인의 반복주사에 의해 유발되는 행동 감작과 관련하여 D1 수용체 길항제 SCH23390 또는 D2 수용체 길항제 설피라이드 YM-09151-2 또는 eticlopride의 전신투여는 유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코카인 민감성(구리바라와 우치하시, 1993년; Mattingly 등, 1994; 스테이크, 1998; White 외, 1998; Vanderschuren and Kalivas, 2000).

SCH23390의 직접 측좌 내 투여가 코카인 유발 운동, 냄새 맡기 및 CPP(조건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쥐에서 조사했으며, 이 연구에서 NAc의 D1 유사 수용체 자극이 코카인 유발에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CPP, 그러나 코카인 유발 이동에는 해당되지 않음(Baker et al., 1998; Neisewander et al., 1998). 쥐에 D2/D3 수용체 길항제 설피라이드를 측좌부에 직접 주입한 결과 D2 수용체를 차단하면 급성 코카인 유발 운동이 역전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습니다.Neisewander et al., 1995; Baker et al., 1996),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코카인 유발 행동 감작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지 않았습니다. 흥미롭게도 D2 수용체 작용제인 quinpirole을 내측 전두엽 피질에 주사하면 코카인 유발 행동 감작의 발현을 차단하고 감쇠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바이어와 스테이크, 2002).

중독성 행동의 맥락에서 D1 수용체가 없는 마우스를 조사했으며, 초기 연구에서는 D1 수용체 돌연변이 마우스가 야생형 한배새끼에 비해 운동 및 고정관념 행동에 대한 코카인의 정신운동 자극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Xu 등, 1994; Drago 등, 1996). 그러나 D1 수용체 KO는 코카인에 대한 급성 운동 반응을 없애는 것으로 보이지만 모든 용량에서 코카인에 대한 운동 감작을 완전히 예방하지는 못합니다.Karlsson et al., 2008), D1 수용체의 유전적 KO가 모든 조건에서 코카인 감작을 완전히 차단하기에 충분하지 않음을 입증합니다.

일반 운동 활동이 감소한 D2 수용체 KO 생쥐에서 코카인 유발 운동 활동 수준은 WT 생쥐에 비해 낮지 만 코카인 매개 행동 감작 또는 코카인 추구 행동을 유도하는 능력은 비슷했습니다. 약간의 감도 감소(Chausmer et al., 2002; 웰터 (Welter) 등, 2007; Sim 외, 2013). D2 수용체에 대한 shRNA를 가진 렌티바이러스 벡터의 주입에 의한 NAc에서 D2 수용체의 고갈은 기저 운동 활동이나 코카인 유발 행동 감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코카인 유발 행동 감작 발현의 스트레스 유발 억제를 부여했습니다.Sim 외, 2013). 이러한 발견은 이전 보고서와 함께 NAc의 D2 수용체 차단이 코카인 매개 행동 감작을 예방하지 않으며 NAc의 D2 수용체가 스트레스 및 약물 중독에 의해 유발되는 시냅스 변형의 조절에 뚜렷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강력하게 시사합니다. .

세포 유형별 방식으로 Cre 재조합효소를 발현하는 유전자 조작 마우스를 사용한 최근 연구에서 코카인 중독 행동에서 D1 또는 D2 수용체 발현 MSN의 일부 역할이 밝혀졌습니다. 예를 들어, D32 수용체 발현 세포에서 DARPP-2의 소실은 코카인에 대한 급성 운동 반응을 증가시켰다.베이트업, 2010). Hikida와 동료들은 substance P(D1 발현 MSN의 경우) 또는 enkephalin(D2 발현 MSN의 경우) 프로모터를 사용하여 AAV 벡터를 사용하여 테트라사이클린 억제 전사 인자(tTa)를 발현했습니다.히키다 (Hikida) 등, 2010). 이들 벡터는 파상풍 독소 경쇄(TN)가 테트라시클린 반응 요소에 의해 제어되는 마우스의 NAc에 주입되어 각 MSN 하위 유형에서 시냅스 전달을 선택적으로 폐지합니다. 파상풍 독소로 D1/D2 수용체 발현 MSN의 가역적 불활성화(히키다 (Hikida) 등, 2010)은 보상 학습과 코카인 감작에서 D1 수용체 발현 세포의 우세한 역할을 밝혔지만, D2 수용체 발현 세포의 불활성화로 인한 감작 변화는 없었다. 조작된 GPCR(G내가 / O를결합 된 인간 무스 카린 M4DREADD 수용체, hM4D) 달리 약리학적으로 불활성인 리간드에 의해 활성화되는, 퍼거슨 (Ferguson) 등. (2011) 선조체 D2 수용체 발현 뉴런의 활성화가 암페타민 유발 감작의 발달을 촉진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NAc에서 D2 수용체 발현 세포의 광유전학적 활성화는 코카인에 의해 유발된 행동 감작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다.로보, 2010).

빛 활성화 염화물 펌프, 할로호돕신 eNpHR1(강화 Natronobacterium 할로로돕신 3.0), 코카인에 노출된 동안 코카인에 의해 유도된 운동 감작이 약화되었습니다.찬드라 외, 2013). 또한, D1 수용체 KO 생쥐의 NAc 하위 영역에서 기능적 D1 수용체 신호 전달의 조건부 재구성은 NAc의 코어 영역에서 D1 수용체 발현을 초래했지만 껍질이 아닌 D1 수용체 의존성 코카인 감작을 매개했습니다.고어와 즈바이펠, 2013). 이러한 결과는 DA 메커니즘이 D1 및 D2 수용체에 대한 뚜렷한 역할과 함께 코카인 유발 행동 감작을 비판적으로 중재하지만 D1 및 D2 수용체와 그 하류 신호 전달 경로의 정확한 기여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조건부 장소 선호

CPP 패러다임은 고전적(Pavlovian) 컨디셔닝 모델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임상 행동 테스트입니다. CPP의 훈련 단계 동안 하나의 뚜렷한 컨텍스트가 약물 주입과 짝을 이루는 반면 다른 컨텍스트는 비히클 주입과 짝을 이룹니다.토마스 (Thomas) 등, 2008). 후속 약물 없는 CPP 테스트 중에 동물은 약물과 비히클 페어링 컨텍스트 중에서 선택합니다. 약물 컨텍스트에 대한 선호도 증가는 약물의 Pavlovian 강화 효과를 측정하는 역할을 합니다(토마스 (Thomas) 등, 2008).

이전에 D1 수용체 길항제 SCH23390의 전신 및 측좌 내 투여가 모두 코카인 CPP를 예방한다고 보고되었지만.1995, Cervo and Samanin; Baker et al., 1998), D1 수용체 돌연변이 생쥐는 CPP 패러다임에서 코카인의 보상 효과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Miner et al., 1995; Karasinska 외, 2005). CPP에서 D2 수용체의 역할과 관련하여, D2 유사 길항제는 코카인에 의해 유도된 장소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문헌에 상당한 합의가 있다.스파라키 외, 1982; Shippenberg 및 Heidbreder, 1995; 1995, Cervo and Samanin; 나자리안 외, 2004). 이러한 약리학적 연구와 일관되게 D2 수용체 KO 생쥐는 WT 생쥐와 비슷한 CPP 점수를 보였다.웰터 (Welter) 등, 2007; Sim 외, 2013). 게다가 D2L-/- 쥐는 WT 쥐처럼 코카인에 대한 CPP를 발달시켰다.스미스 (Smith) 등, 2002).

최근에 D2 수용체의 조건부 시냅스전 KO가 중독성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보고되었으며, 이 연구는 D2 자가수용체가 결여된 마우스가 코카인 과민성을 나타내고, 코카인에 대한 장소 선호도가 증가하고, 음식 보상에 대한 동기가 강화됨을 보여주었습니다. 세포외 DA를 추가로 상승시키고 시냅스후 DA 수용체의 자극을 최대화하는 자가수용체에 의한 시냅스전 억제가 없기 때문입니다.Bello et al., 2011).

다른 조사 라인에서 얻은 결과는 D1 발현 MSN이 광유전학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때 NAc에서 DIO-AAV-ChR1-EYFP를 발현하는 D2-Cre 마우스가 대조군(로보, 2010). 대조적으로, DIO-AAV-ChR2-EYFP를 발현하는 D2-Cre 마우스는 대조군에 비해 코카인/청색광 선호도의 상당한 감쇠를 보였다.로보, 2010), 코카인 보상 효과를 길항하는 D1 발현 MSN의 활성화와 함께 코카인의 보상 효과를 향상시키는 D2 발현 MSN의 활성화 역할을 암시합니다. 파상풍 독소로 D1 발현 MSN 억제(히키다 (Hikida) 등, 2010)는 코카인 CPP를 감소시켰고, D2-발현 MSN에서 시냅스 전달을 제거한 후 코카인 CPP에 대한 변경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히키다 (Hikida) 등, 2010). 따라서 광유전학 및 뉴런의 세포 유형 특이적 불활성화를 사용하는 이러한 데이터는 CPP에서 D1- 및 D2-발현 MSN의 반대 역할을 암시하며, D1 수용체-발현 MSN은 정신자극제에 대한 보상 반응 및 D2 수용체-발현 MSN 감쇠를 모두 촉진하는 데 관여합니다. 이러한 행동(Lobo and Nestler, 2011).

코카인 자체 관리 및 코카인 추구 행동

코카인 자가 투여는 실험실 동물이 약물 주입을 위해 레버를 누르거나 코를 찌르는 작동 모델입니다. "자가 관리" 행동 패러다임은 중독의 인간 병리학의 동물 행동 모델 역할을 합니다.토마스 (Thomas) 등, 2008). 6-하이드록시 DA(6-OHDA) 또는 NAc의 신경독 카이닉산이 있는 DA 말단의 선택적 병변이 코카인 자가 투여를 상당히 약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이는 코카인의 강화 효과가 중변연계에 의존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합니다. 다(페티트 외, 1984; 지토 등, 1985; 케인과 콥, 1994). 이러한 결과에 일관되게 생체내에서 미세투석 연구는 두 쥐 모두에서 코카인 자가투여 동안 축적된 시냅스외 DA 수준이 향상됨을 보여줍니다.허드 (Hurd) 등, 1989; 페티트와 저스티스, 1989) 및 원숭이(Czoty 등, 2000). 종합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NAc의 향상된 DA 전송이 코카인 자체 관리 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DA 수용체 길항제 및 작용제는 코카인 자체 투여를 조절하여 용량 의존적 이상 효과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D1 둘 다에 대한 선택적 길항제(1986년 울버튼; 브리튼 등, 1991; 허브너와 모튼, 1991; Vanover 등, 1991; 케인과 콥, 1994) 및 D2(1986년 울버튼; 브리튼 등, 1991; 허브너와 모튼, 1991; 케인과 콥, 1994) 수용체는 더 낮은 용량의 길항제에 반응하여 코카인 자가 투여를 증가시키지만, 더 높은 용량에 반응하여 자가 투여를 감소시킨다. 이 조절은 미상 핵이 아닌 NAc에 주입될 때 특이적인 것으로 보이며, 이는 코카인 자가 투여 행동에서 NAc DA 수용체의 뚜렷한 역할을 나타냅니다.

나중에 D1 및 D2 수용체가 없는 마우스를 사용하여 코카인 자체 투여에서 이러한 수용체의 관련성을 조사했습니다. 흥미롭게도, D1 수용체 KO 마우스에서 정상적인 코카인 CPP가 관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코카인 자가 투여는 이들 마우스에서 제거되었다.Caine 등, 2007). 그러나 D2 수용체 KO 생쥐에서 저용량에서 중등도의 코카인 자가 투여는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중등도에서 고용량의 코카인 자가 투여는 실제로 증가했습니다.Caine 등, 2002). 최근 Alvarez와 동료들은 NAc에서 D2 발현 MSN에 대한 시냅스 강화가 정맥 코카인 자가 투여 이력이 있는 마우스에서 발생한다고 보고했습니다.Bock 등, 2013). 화학유전학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D2-MSN을 억제하면 코카인을 얻고자 하는 동기가 강화되는 반면, D2-MSN의 광유전학적 활성화는 코카인 자가투여를 억제하여 D2-MSN이 NAc 기능에 동원되어 코카인 자가투여를 억제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Bock 등, 2013).

코카인 추구 행동의 회복을 조사한 연구에서 D2 수용체 작용제의 투여가 코카인 추구 행동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Self et al., 1996; De Vries et al., 1999, 2002; Spealman 등, 1999; Khroyan 등, 2000; Fuchs 등, 2002). 이러한 발견과 일치하게, D2 수용체 길항제는 코카인 프라이밍으로 유발된 약물 탐색 행동을 약화시킵니다.Spealman 등, 1999; Khroyan 등, 2000), 코카인 프라이밍 주입 전에 D2 유사 작용제로 전처리하는 동안 행동을 강화했습니다(Self et al., 1996; Fuchs 등, 2002). 그러나 D1 유사 수용체 작용제는 코카인 추구 행동을 회복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Self et al., 1996; De Vries et al., 1999; Spealman 등, 1999; Khroyan 등, 2000). 실제로, 전신적으로 투여된 D1-유사 작용제 및 길항제는 모두 프라이밍 코카인 주사에 의해 유도된 약물 탐색 행동을 약화시킨다.Self et al., 1996; 노먼 등, 1999; Spealman 등, 1999; Khroyan 등, 2000, 2003), 코카인 추구의 프라이밍 유도 복직에 D1 및 D2 수용체의 차별적 관여를 보여줍니다.

우리 연구실의 결과는 D2 수용체가 없는 경우 코카인 유발 복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Sim 외, 2013). 코카인 관련 자극이나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재노출에 의해 약물 추구 행동의 회복이 촉진될 수도 있다고 제안됩니다.샤함 (Shaham) 등, 2003). 이 가능성을 테스트했을 때 우리 연구실의 결과는 스트레스가 WT 생쥐에서 코카인 유발 복직을 강화하는 반면 스트레스는 D2 수용체 돌연변이 동물에서 코카인 유발 복직을 억제하여 시냅스 조절에서 D2 수용체의 미지의 역할을 제안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스트레스와 약물 중독에 의해 유발된 변형(Sim 외, 2013).

음식물에있는 DOPAMINE 신호

음식 및 음식 관련 신호는 NAc, 해마, 편도체 및/또는 전두엽 피질 및 중뇌를 포함하여 보상과 관련된 다양한 뇌 회로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팔미 터, 2007; 케니, 2011). mesolimbic DA 시스템은 자연적 보상과 그들이 발견되는 환경 사이의 연관성 학습을 촉진한다고 믿어집니다. 따라서 음식과 물, 또는 이를 예측하는 신호는 DA 뉴런의 빠른 발화를 촉진하고 보상 획득을 향한 행동을 촉진합니다.팔미 터, 2007). 실제로 DA가 결핍된 쥐는 먹이에 대한 동기 상실을 보여줍니다(저우와 팔미터, 1995), D1 수용체가 없는 마우스는 젖을 뗀 후 성장이 지연되고 생존율이 낮습니다. 이 표현형은 KO 생쥐에게 맛있는 음식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구제될 수 있으며, 이는 D1 수용체의 부재가 운동 결핍과 더 관련이 있음을 시사합니다.Drago 등, 1994; Xu 등, 1994). 대조적으로, D2 수용체 KO 생쥐는 야생형 한배새끼에 비해 기본 에너지 소비 수준이 증가하면서 음식 섭취량과 체중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Kim et al., 2010). 따라서 음식 보상에서 DA 시스템과 수용체 아형의 정확한 역할을 기술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인간 연구는 비만과 관련된 음식 보상의 조절에서 D2 수용체의 중요성을 나타냅니다.

음식 보상에서 D2 수용체 발현

증가하는 증거는 DA 수용체와 DA 방출의 변화가 특히 선조체 D2 수용체 기능 및 발현과 관련하여 과식과 비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암시합니다.Stice 등, 2011; Salamone and Correa, 2013). 동물 연구에서 먹이를 주면 NAc의 세포외 DA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Bassareo와 Di Chiara, 1997), 남용 약물과 유사한 방식으로. 그러나 약물 중독과 관련된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달리 NAc DA 고갈만으로는 섭식 행동을 바꾸지 않습니다.Salamone 등, 1993). NAc에서 D1 및 D2 수용체의 약리학적 차단은 운동 행동, 수유량 및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지만, 음식 섭취량을 줄이지는 않습니다.발도 (Baldo) 등, 2002). 흥미롭게도,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폭식은 일방적인 NAc 껍질 심부 뇌 자극의 급성 투여에 의해 개선되었으며, 이 효과는 부분적으로 D2 수용체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된 반면, 등쪽 선조체의 심부 뇌 자극은 이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Halpern 등, 2013) 마우스에서. 그러나 같은 고지방식이를 먹였을 때 조가비의 D2수용체 밀도가 낮은 쥐가 같은 부위의 D2수용체 밀도가 높은 쥐보다 더 많은 체중 증가를 보였다는 보고가 있다.Huang 등, 2006). 본 연구는 만성,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비만 저항성 및 저지방 대조군 마우스에서 DAT 및 D2 수용체 밀도를 비교한 결과, D2 수용체 밀도가 만성 고지방식이에서 꼬리 조가비의 주둥이 부분에서 유의하게 낮았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 비만 저항성 및 저지방 대조군 마우스와 비교하여 지방식이 유발 비만 마우스(Huang 등, 2006). 이 낮은 수준의 D2 수용체는 DA 방출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고지방, 고당 섭취가 D2 수용체의 하향 조절로 이어진다는 보고도 있습니다.스몰 외., 2003) 및 DA 회전율 감소(Davis et al., 2008).

인간 연구에서 비만인 사람과 마약 중독자 모두 선조체 영역에서 D2 수용체의 발현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영상 연구에서는 유사한 뇌 영역이 음식 및 약물 관련 단서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왕 (Wang) 등, 2009).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 연구에 따르면 D2 수용체의 이용 가능성은 비만인 사람의 체질량 지수에 비례하여 감소했습니다.왕 (Wang) 등, 2001) 따라서 비만인의 DA 결핍은 DA 매개 보상 회로의 활성화 감소를 보상하는 수단으로 병적 식사를 영속시킬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Volkow와 동료들은 또한 비만인 성인과 날씬한 성인이 선조체 D2 수용체 결합이 적고 이것이 배외측 전전두엽, 내측 안와전두엽, 전대상회 및 체감각 피질의 대사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했습니다.Volkow et al., 2008). 이 관찰은 선조체 D2 수용체의 감소가 억제 조절 및 돌출 속성에 참여하는 선조체 전전두엽 경로의 조절을 통해 과식에 기여할 수 있는지, 선조체 D2 수용체와 체감각 피질에서의 대사 사이의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한 논의로 이어졌습니다. 공정 기호성)은 DA가 식품의 강화 특성을 조절하는 메커니즘 중 하나의 기초가 될 수 있습니다.Volkow et al., 2008).

Stice와 동료들은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fMRI)을 사용하여 개인이 기능 저하 등쪽 선조체, 특히 D1 수용체에서 TaqIA의 A2 대립유전자의 유전적 다형성을 가진 사람들을 보상하기 위해 과식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DRD2/ANKK1) 낮은 선조체 D2 수용체 밀도 및 감쇠된 선조체 DA 신호와 관련된 유전자(Stice et al., 2008a,b). 이러한 관찰은 음식을 섭취하는 동안 둔화된 선조체 활성화를 보이는 개인은 비만의 위험이 있으며, 특히 음식 보상과 관련된 뇌 영역에서 손상된 DA 신호에 대한 유전적 위험이 있는 사람들을 나타냅니다.Stice et al., 2008a, 2011). 그러나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폭식 장애가 있거나 없는 비만 성인은 TaqIA D2 수용체의 뚜렷한 유전적 다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DRD2/ANKK1) 유전자 (Davis et al., 2012); 따라서 이러한 DA 수용체 데이터가 뇌의 DA 신경 전달의 기능적 관점에서 나타내는 것이 아직 명확하지 않더라도 유사한 뇌 DA 시스템이 음식 동기 부여와 약물 중독 모두에서 중단되는 것이 그럴듯합니다.

비만한 사람과 마찬가지로 낮은 D2 수용체 가용성은 인간의 만성 코카인 남용과 관련이 있습니다.Volkow et al., 1993; Martinez et al., 2004). 대조적으로, D2 수용체의 과발현은 쥐의 알코올 자가투여를 감소시킨다.타 노스 (Thanos) 등, 2001). 인간의 경우 알코올 중독 가족의 비알코올 구성원에서 정상보다 높은 D2 수용체 가용성이 보고되었습니다.Volkow et al., 2006; Gorwood 외, 2012), 낮은 수준의 D2 수용체가 중독성 장애의 위험 증가와 관련될 수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합니다. 따라서 비만 개인과 만성 약물 남용자 모두의 뇌에서 기저 DA 농도가 낮고 음식 또는 약물 섭취와 관련된 주기적인 과장된 DA 방출이 낮은 발현 또는 기능 장애 D2 수용체와 함께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뇌의 다른 영역에서 도파민 수용체 발현 수준도 중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etissovet al. (2002) 큰 식사량과 적은 식사 횟수로 구성된 먹이 패턴을 나타내는 비만 Zucker 쥐가 복내측 시상하부(VMH)에서 비교적 낮은 수준의 D2 수용체 발현을 갖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흥미롭게도, 그들의 연구에서 선택적 D2 수용체 길항제인 설피라이드를 비만 및 마른 쥐의 VMH에 주입했을 때 비만 쥐에서만 과식 반응이 유도되었으며, 이는 이미 낮은 수준의 D2 수용체를 악화시킴으로써 음식 섭취량을 늘릴 수 있습니다. 이 낮은 D2 수용체 발현은 음식을 섭취하는 동안 비만 쥐에서 과도한 DA 방출을 유발할 수 있으며 DA의 포만감 피드백 효과가 감소하여 DA를 갈망하는 뇌 영역으로 DA 방출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Fetissov 등, 2002).

최근에 수행된 우아한 연구에서 존슨과 케니 (2010), 매우 맛있고 에너지 밀도가 높은 음식으로 구성된 "카페테리아 식단"을 제공받은 동물이 체중이 증가하여 강박적인 식습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습니다. 과도한 비만과 강박적인 식습관 외에도 카페테리아 다이어트 쥐는 선조체에서 D2 수용체 발현이 감소했습니다. 놀랍게도, 선조체 D2 수용체의 렌티바이러스 매개 녹다운은 중독과 같은 보상 결손의 발달과 맛있는 고지방 음식에 대한 접근이 확장된 쥐에서 강박적인 음식 추구 행동의 시작을 빠르게 가속화했습니다.존슨과 케니, 2010), 다시 일반적인 쾌락 메커니즘이 비만과 약물 중독의 기초가 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우리 연구실에서는 D2 KO 생쥐가 WT 생쥐에 비해 시상하부 렙틴 신호 전달이 강화된 희박한 표현형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다소 예상치 못한 결과를 발견했습니다.Kim et al., 2010). 따라서 우리는 D2 수용체가 음식 동기 행동에서의 역할 외에도 렙틴과 같은 에너지 항상성의 조절자와 관련하여 대사의 항상성 조절에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렙틴 수용체 발현 세포 또는 다른 보상 관련 신경 세포에서 D2 수용체의 유전적으로 조작된 조건부 제한이 있는 동물 모델은 신경 통합 도구와 함께 식품에서 D2 수용체를 통해 DA 시스템의 역할을 잠재적으로 밝힐 수 있습니다. 음식 섭취의 보상 및 항상성 조절.

항상성 공급 회로에 연결된 도파민 보상 신호

증가하는 증거는 렙틴, 인슐린 및 그렐린과 같은 음식 섭취의 항상성 조절자가 음식 섭취의 보상 회로를 제어하고 상호 작용하여 음식 섭취의 행동 측면과 음식 자극 행동에 대한 컨디셔닝을 조절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Abizaid 등, 2006; 풀톤 (Fulton) 등, 2006; Hommel 등, 2006; Baicy 등, 2007; Farooqi 등, 2007; 팔미 터, 2007; Konner et al., 2011; Volkow et al., 2011).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에너지 항상성 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도 DA 뉴런에 직접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렙틴과 인슐린은 DA 뉴런을 직접 억제하는 반면 그렐린은 이를 활성화합니다.팔미 터, 2007; 케니, 2011).

Hommel과 동료들은 VTA DA 뉴런이 렙틴 수용체 mRNA를 발현하고, 렙틴 수용체에 관여하는 주요 경로인 세포내 JAK-STAT(Janus kinase-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경로의 활성화로 렙틴에 반응한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다운스트림 시그널링, DA 뉴런의 발사 속도 감소(Hommel 등, 2006). 이 연구는 VTA에 leptin을 직접 투여하면 음식 섭취가 감소하는 반면 VTA에서 leptin 수용체의 장기 RNAi 매개 녹다운은 음식 섭취, 운동 활동 및 맛이 좋은 음식에 대한 민감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섭식 행동을 조절하는 VTA 렙틴 수용체의 중요한 역할을 지원하고 VTA DA 뉴런에 대한 말초 대사 신호의 직접적인 작용에 대한 기능적 증거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결과는 VTA의 leptin 신호가 일반적으로 DA 신호를 억제하고 결과적으로 음식 섭취와 운동 활동을 모두 감소시킨다는 생각과 일치합니다. 이것은 VTA에서 leptin 신호 전달에 대한 생리학적 역할을 암시하지만, 저자는 먹이에 대한 바이러스 주입의 효과가 증가된 DA 신호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음을 입증하지는 않았습니다.Hommel 등, 2006).

Fulton과 동료들은 또한 DA 보상 회로에서 leptin의 다양한 작용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 VTA DA 뉴런에서 leptin 작용의 기능적 중요성을 조사했습니다.풀톤 (Fulton) 등, 2006). 이중 표지 면역조직화학법을 사용하여 그들은 말초 렙틴 투여 후 VTA에서 증가된 STAT3 인산화를 관찰했습니다. 이러한 pSTAT3-양성 뉴런은 DA 뉴런과 함께 국소화되고 GABA 뉴런에 대한 마커와 함께 더 적은 정도로 동국화됩니다. NAc의 역행 신경 추적은 pSTAT3와 추적자의 colocalization을 밝혀내어 렙틴 수용체를 발현하는 VTA DA 뉴런의 하위 집합이 NAc로 투사됨을 나타냅니다. 그들이 VTA에서 렙틴 기능을 평가했을 때, ob / ob 마우스는 암페타민에 대한 운동 반응이 감소했고, 반복된 암페타민 주사에 대한 운동 감작이 부족했으며, 두 결함 모두 렙틴 주입으로 역전되었습니다.풀톤 (Fulton) 등, 2006). 이러한 일련의 증거는 DA 보상 시스템에서 렙틴의 작용을 중요하게 제안했습니다. 그러나 렙틴 수용체 발현의 생리학적 수준이 중뇌에서 매우 낮은 것으로 보인다는 점을 감안할 때 정상적인 순환 렙틴 수치는 VTA 내의 렙틴 수용체 신호 전달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여부 생체내에서 leptin이 VTA의 수용체를 통해 DA 뉴런 활동을 억제하는 중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지는 의문입니다.팔미 터, 2007).

렙틴이 실제로 보상 반응을 제어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인간 연구도 있습니다. Farooqi와 동료들은 선천성 leptin 결핍 환자가 DA mesolimbic 표적의 활성화를 보였다고 보고했습니다.Farooqi 등, 2007). 렙틴 결핍 상태에서 좋아하는 음식의 이미지는 피험자가 방금 음식을 먹었을 때에도 더 큰 원하는 반응을 불러일으켰고, 렙틴 치료 후에는 좋아하는 음식 이미지는 공복 상태에서만 이러한 반응을 일으켰습니다. 대조군의 반응과 함께. Leptin은 NAc-caudate의 활성화와 mesolimbic 활성화를 감소시킨다.Farooqi 등, 2007). 따라서, 이 연구는 leptin이 DA 시스템에 작용하여 음식에 대한 보상 반응을 감소시켰음을 시사합니다.Farooqi 등, 2007; Volkow et al., 2011). Baicy 등이 수행한 또 다른 fMRI 연구는 선천성 렙틴 결핍증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음식 관련 자극을 보는 동안 렙틴 대체가 배고픔과 관련된 뇌 영역(섬, 정수리 및 측두 피질)의 신경 활성화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억제 및 포만감과 관련된 영역(전두엽 피질; Baicy 등, 2007). 따라서 렙틴은 억제 조절을 통해 배고픔과 포만감에 관여하는 신경회로에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위와 췌장에서 생성되는 또 다른 펩타이드 호르몬인 그렐린은 식욕과 음식 섭취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Abizaid 등, 2006). 그렐린 수용체 성장 호르몬 분비촉진제 1 수용체(GHSR)는 시상하부 중심과 VTA에 존재합니다. Abizaid와 동료들은 생쥐와 쥐에서 그렐린이 VTA의 뉴런에 결합하여 GHSR 의존 방식으로 DA 신경 활동, 시냅스 형성 및 NAc의 DA 회전율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그들은 그렐린의 직접적인 VTA 투여가 또한 섭식 행동을 유발하는 반면 선택적 GHSR 길항제의 VTA 내 전달은 순환하는 그렐린의 식욕 유발 효과를 차단하고 단식 후 반동 섭식을 둔화시켜 DA 보상 회로가 음식에 대한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그렐린(Abizaid 등, 2006).

포도당 대사 조절에 관여하는 주요 호르몬 중 하나인 인슐린은 섭식을 억제하며 뇌의 DA 시스템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슐린 수용체는 선조체 및 중뇌와 같이 DA 뉴런이 풍부한 뇌 영역에서 발현됩니다.Zahniser 등, 1984; Figlewicz et al., 2003), 인슐린과 DA 시스템 간의 기능적 상호 작용을 제안합니다. 실제로 인슐린이 DA 뉴런에 작용하고 VTA에 인슐린을 주입하면 쥐의 음식 섭취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Figlewicz et al., 2008; Bruijnzeel 등, 2011). 마우스의 중뇌 DA 뉴런에서 인슐린 수용체의 선택적인 제거에 대한 최근 연구는 이러한 조작이 체중 증가, 체지방 증가 및 과식증을 초래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Konner et al., 2011). 인슐린이 도파민성 VTA/SN 뉴런의 50%에서 발화 빈도를 급격히 자극하는 동안, 이 반응은 DA 뉴런에서 선택적으로 삭제된 인슐린 수용체를 가진 쥐에서는 사라졌습니다. 흥미롭게도, 이 마우스에서 VTA의 D2 수용체 발현은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감소했습니다. 게다가, 이 쥐들은 음식 제한 조건에서 코카인에 대해 변화된 반응을 보였다.Konner et al., 2011). 또 다른 최근 보고서는 인슐린이 VTA DA 뉴런에 대한 마우스 흥분성 시냅스의 장기 억제(LTD)를 유도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Labouèbe 외, 2013). 또한, 내인성 인슐린 수치를 높이는 가당 고지방 식사 후에는 인슐린 유발 LTD가 차단됩니다. 마지막으로 VTA의 인슐린은 생쥐의 음식 예상 행동을 감소시키고 쥐의 음식에 대한 CPP를 감소시킵니다. 이 연구는 인슐린이 어떻게 보상 회로를 조절할 수 있는지에 대한 흥미로운 문제를 제기하고 VTA DA 뉴런에서 새로운 유형의 인슐린 유도 시냅스 가소성을 제안합니다.Labouèbe 외, 2013).

결론 및 향후 방향

이 검토는 DA 시스템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고 주로 중독 및 음식 동기 부여를 포함한 보상 관련 행동에서 D1 및 D2 수용체의 역할에 집중했습니다. 그러나이 보상 회로의 DA 시스템은 행동의 신경 상관 관계를 인코딩하는 특정 회로를 형성하는 glutamatergic, GABAergic 및 기타 신경 전달 시스템에 의해 미세하게 변조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특정 신경 세포 또는 회로의 유전적 조작과 함께 DREADD뿐만 아니라 빛으로 신경 발화 및 기능을 변경하는 광유전학 도구의 최근 돌파구는 이제 우리가 중독의 보상 회로에 대한 통찰력과 음식 섭취의 쾌락적 가치를 개선할 수 있게 합니다. . 이러한 조사 라인이 이러한 행동에서 DA 시스템의 신경 회로에 대한 우리 연구의 향후 방향을 위한 토대를 제공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향후 연구에는 특정 보상 행동의 유도 및 발현에 대한 이러한 분자의 영향을 탐구하기 위해 D1 및 D2 수용체 신호 캐스케이드와 관련된 신호 분자와 같은 중요한 신호 분자의 확대 조작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 두 수용체가 각각의 G 단백질 결합과 ERK와 같은 일반적인 단일 분자의 활성화 측면에서 별개의 신호 경로를 사용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수용체의 차등 분포와 하위 신호 분자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다른 유형의 생리적 반응. 또한 행동에서 DA 시스템의 이러한 개념적 및 기술적 진화와 함께 본 연구는 관련 신경 장애 및 정신 질환의 임상 조사에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입니다. 따라서 동물과 인간 모두에서 DA 시냅스 기능의 조직과 수정을 식별하고 특성화하려는 우리의 지속적인 노력은 약물 중독과 섭식 장애의 병태생리학의 근간을 이루는 신경 회로의 해명에 기여할 것입니다.

이해 상충의 진술

저자는 연구가 잠재적 인 이해 상충으로 해석 될 수있는 상업적 또는 재정적 관계가없는 상태에서 수행되었다고 선언합니다.

감사의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미래창조과학부,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창조과학부, 제2011-0015678호, 제2012-0005303호)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한국보건기술연구개발사업(A111776)

참조

  • Abizaid A., Liu ZW, Andrews ZB, Shanabrough M., Borok E., Elsworth JD 등. (2006). 그렐린은 식욕을 촉진하면서 중뇌 도파민 뉴런의 활동 및 시냅스 입력 조직을 조절합니다. 제이 CLIN. 투자. 116 3229–3239. 도이: 10.1172/JCI29867.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Baicy K., 런던 ED, Monterosso J., Wong ML, Delibasi T., Sharma A., 외. (2007). 렙틴 대체는 유전적으로 렙틴 결핍 성인의 음식 단서에 대한 뇌 반응을 변경합니다. Proc. Natl. Acad. Sci. 미국 104 18276–18279. 도이: 10.1073/pnas.0706481104.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Baik JH, Picetti R., Saiardi A., Thiriet G., Dierich A., Depaulis A., 외. (1995). 도파민 D2 수용체가 결여된 쥐의 파킨슨병 유사 운동 장애. 자연 377 424–428. 도이: 10.1038/377424a0. [PubMed] [교차 참조]
  • Baker DA, Fuchs RA, Specio SE, Khroyan TV, Neisewander JL(1998). 코카인 유발 운동 및 조건부 장소 선호도에 대한 SCH-23390의 측좌 내 투여의 효과. 시냅스 30 181–193. doi: 10.1002/(SICI)1098-2396(199810)30:2<181::AID-SYN8>3.0.CO;2-8. [PubMed] [교차 참조]
  • Baker DA, Khroyan TV, O'Dell LE, Fuchs RA, Neisewander JL(1996). 코카인 유발 운동 및 조건부 장소 선호도에 대한 내부 accumbenssulpiride의 차등 효과. J. Pharmacol. 특급. Ther. 279 392-401. [PubMed]
  • Baldo BA, Sadeghian K., Basso AM, Kelley AE(2002). 섭취 행동 및 관련 운동 활동에 대한 측좌핵 소구역 내의 선택적 도파민 D1 또는 D2 수용체 차단 효과. 행동. Brain Res. 137 165–177. doi: 10.1016/S0166-4328(02)00293-0. [PubMed] [교차 참조]
  • Bassareo V, Di Chiara G. (1997). 자유롭게 먹인 쥐의 음식 자극에 대한 전전두엽 및 측두엽 도파민 전달의 반응성에 대한 연관 및 비연관 학습 메커니즘의 차등 영향. J. 뉴로시. 17 851-861. [PubMed]
  • Bateup HS (2010). 중간 가시 뉴런의 뚜렷한 하위 클래스는 선조체 운동 행동을 차별적으로 조절합니다. Proc. Natl. Acad. Sci. 미국 107 14845–14850. 도이: 10.1073/pnas.1009874107.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Bateup HS, Svenningsson P., Kuroiwa M., Gong S., Nishi A., Heintz N. 등. (2008). 정신자극제 및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DARPP-32 인산화의 세포 유형별 조절. Nat. 신경 과학. 11 932–939. 도이: 10.1038/nn.2153.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Beaulieu JM, Gainetdinov RR (2011). 도파민 수용체의 생리학, 신호 전달 및 약리학. Pharmacol. 회전. 63 182–217. 도이: 10.1124/pr.110.002642. [PubMed] [교차 참조]
  • Bello EP, Mateo Y., Gelman DM, Noaïn D., Shin JH, Low MJ 등 (2011). 코카인 과민성 및 도파민 D(2) autoreceptors 부족 마우스 보상에 대한 향상된 동기 부여. Nat. 신경 과학. 14 1033–1038. 도이: 10.1038/nn.2862.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S. 범, D. 청, G. Torres, Caron MG, Kim KM (2004). 세포외 신호 조절 키나아제의 활성화를 위한 도파민 D2 및 D3 수용체의 분자 메커니즘 비교 연구. J. Biol. Chem. 279 28304–28314. 도이: 10.1074/jbc.M403899200. [PubMed] [교차 참조]
  • Berridge KC, Robinson TE (1998). 보상에서 도파민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쾌락 영향, 보상 학습 또는 인센티브 중요도? Brain Res. Brain Res. 회전. 28 309–369. doi: 10.1016/S0165-0173(98)00019-8. [PubMed] [교차 참조]
  • Beyer CE, Steketee JD(2002). 코카인 감작: 도파민 D2 수용체에 의한 변조. Cereb. 피질 12 526–535. 도이: 10.1093/cercor/12.5.526. [PubMed] [교차 참조]
  • Bock R., Shin JH, Kaplan AR, Dobi A., Markey E., Kramer PF 등 (2013). accumbal 간접 경로를 강화하면 강박적인 코카인 사용에 대한 탄력성을 촉진합니다. Nat. 신경 과학. 16 632–638. 도이: 10.1038/nn.3369.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Britton 박사, Curzon P., Mackenzie RG, Kebabian JW, Williams JE, Kerkman D. (1991). 코카인 자체 투여를 유지하는 데 D1 및 D2 수용체가 모두 관여한다는 증거. Pharmacol. Biochem. 행동. 39 911–915. doi: 10.1016/0091-3057(91)90052-4. [PubMed] [교차 참조]
  • Bruijnzeel AW, Corrie LW, Rogers JA, 야마다 H. (2011). 암컷 쥐의 음식 섭취 및 뇌 보상 기능에 대한 복부 피개 영역 및 아치형 시상 하부 핵의 인슐린과 렙틴의 영향. 행동. Brain Res. 219 254–264. 도이: 10.1016/j.bbr.2011.01.020.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Bunzow JR, Van Tol HH, Grandy DK, Albert P., Salon J., Christie M. 등 (1988). 래트 D2 도파민 수용체 cDNA의 클로닝 및 발현. 자연 336783–787. 도이: 10.1038/336783a0. [PubMed] [교차 참조]
  • Cabib S., Castellano C., Cestari V., Filibeck U., Puglisi-Allegra S. (1991). D1 및 D2 수용체 길항제는 마우스에서 코카인에 의해 유도된 운동 기능 항진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칩니다. 정신 약리학 (Berl.) 105 335–339. 도이: 10.1007/BF02244427. [PubMed] [교차 참조]
  • 케인 SB, 콥 GF(1994). 쥐의 강화 일정에 따라 코카인 자체 투여에 대한 도파민 D-1 및 D-2 길항제의 효과. J. Pharmacol. 특급. Ther. 270 209-218. [PubMed]
  • Caine SB, Negus SS, Mello NK, Patel S., Bristow L., Kulagowski J., 외. (2002). 코카인 자가 투여에서 도파민 D2 유사 수용체의 역할: D2 수용체 돌연변이 마우스 및 새로운 D2 수용체 길항제에 대한 연구. J. Neurosci. 22 2977-2988. [PubMed]
  • Caine SB, Thomsen M., Gabriel KI, Berkowitz JS, Gold LH, Koob GF 등 (2007). 도파민 D1 수용체 녹아웃 마우스에서 코카인 자가 투여 부족. J. Neurosci. 27 13140–13150. 도이: 10.1523/JNEUROSCI.2284-07.2007.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Cass WA, Zahniser NR (1991). 칼륨 채널 차단제는 D2 도파민을 억제하지만 선조체 도파민 방출의 수용체 매개 억제인 A1 아데노신은 억제하지 않습니다. J. Neurochem. 57 147–152. 도이: 10.1111/j.1471-4159.1991.tb02109.x. [PubMed] [교차 참조]
  • Cervo L., Samanin R. (1995). 도파민성 및 글루탐산성 수용체 길항제가 코카인 컨디셔닝 장소 선호도의 획득 및 발현에 미치는 영향. Brain Res. 673 242-250. 도이: 10.1016/0006-8993(94)01420-M. [PubMed] [교차 참조]
  • Chandra R., Lenz JD, Gancarz AM, Chaudhury D., Schroeder GL, Han MH, 외. (2013). 측좌핵 뉴런을 포함하는 D1R의 광유전학적 억제는 Tiam1의 코카인 매개 조절을 변경합니다. 앞쪽. 몰. 신경과학 24:6~13. 도이: 10.3389/fnmol.2013.00013.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장 L., Karin M. (2001). 포유류 MAP 키나제 신호 캐스케이드. 자연 410 37–40. 도이: 10.1038/35065000. [PubMed] [교차 참조]
  • Chausmer AL, Elmer GI, Rubinstein M., Low MJ, Grandy DK, Katz JL(2002). 도파민 D2 수용체 돌연변이 생쥐에서 코카인 유발 운동 활동 및 코카인 차별. 정신 약리학 (Berl.) 163 54–61. 도이: 10.1007/s00213-002-1142-y. [PubMed] [교차 참조]
  • Chen J., Rusnak M., Luedtke RR, Sidhu A. (2004). D1 도파민 수용체는 ERK 신호 캐스케이드를 통해 도파민 유도 세포 독성을 매개합니다. J. Biol. Chem. 279 39317–39330. 도이: 10.1074/jbc.M403891200. [PubMed] [교차 참조]
  • 치오도 LA, 카파토스 G. (1992). 일차 해리 세포 배양에서 확인된 중뇌 도파민 뉴런의 막 특성. 시냅스 11 294–309. 도이: 10.1002/syn.890110405. [PubMed] [교차 참조]
  • 최이, 정덕, 박권원, 백정호(1999). 2개의 도파민 DXNUMX 수용체에 의한 G 단백질-매개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 활성화. Biochem. Biophys. Res. Commun. 256 33–40. 도이: 10.1006/bbrc.1999.0286. [PubMed] [교차 참조]
  • Congar P., Bergevin A., Trudeau LE (2002). D2수용체는 도파민성 뉴런에서 칼슘 유입의 하류에서 분비 과정을 억제합니다: K+ 채널의 의미. J. Neurophysiol. 87 1046-1056. [PubMed]
  • Czoty PW, Justice JB, Jr., Howell LL(2000). 깨어있는 다람쥐 원숭이의 미세 투석에 의해 결정된 세포 외 도파민의 코카인 유발 변화. 정신 약리학 (Berl.) 148 299–306. 도이: 10.1007/s002130050054. [PubMed] [교차 참조]
  • Dal Toso R., Sommer B., Ewert M., Herb A., Pritchett DB, Bach A., 외. (1989). 도파민 D2 수용체: 선택적 스플라이싱에 의해 생성된 두 가지 분자 형태. EMBO J. 8 4025-4034. [PMC 무료 기사] [PubMed]
  • Davis C., Levitan RD, Yilmaz Z., Kaplan AS, Carter JC, Kennedy JL(2012). 폭식 장애와 도파민 D2 수용체: 유전자형 및 하위 표현형. 음식물. 신경정신약물. 비올. 정신과 38 328–335. 도이: 10.1016/j.pnpbp.2012.05.002. [PubMed] [교차 참조]
  • Davis JF, Tracy AL, Schurdak JD, Tschöp MH, Lipton JW, Clegg DJ 등 (2008). 높은 수준의 식이 지방에 노출되면 쥐의 정신 자극제 보상과 중변연계 도파민 회전율이 약화됩니다. 행동. 신경 과학. 122 1257–1263. 도이: 10.1037/a0013111.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Dearry A., Gingrich JA, Falardeau P., Fremeau RT, Jr., Bates MD, 외. (1990). 인간 D1 도파민 수용체에 대한 유전자의 분자 복제 및 발현. 자연 347 72–76. 도이: 10.1038/347072a0. [PubMed] [교차 참조]
  • De Vries TJ, Schoffelmeer AN, Binnekade R., Raasø H., Vanderschuren LJ (2002). 도파민 D2 수용체에 의해 매개되는 코카인 및 헤로인 추구 행동으로의 재발은 시간 의존적이며 행동 감작과 관련이 있습니다. Neuropsychopharmacology 26 18–26. doi: 10.1016/S0893-133X(01)00293-7. [PubMed] [교차 참조]
  • De Vries TJ, Schoffelmeer AN, Binnekade R., Vanderschuren LJ (1999). IV 약물 자체 투여의 장기간 중단 후 코카인과 헤로인을 찾는 인센티브를 중재하는 도파민 메커니즘. 정신 약리학 (Berl.) 143 254–260. 도이: 10.1007/s002130050944. [PubMed] [교차 참조]
  • Drago J., Gerfen CR, Lachowicz JE, Steiner H., Hollon TR, Love PE 등. (1994). D1A 도파민 수용체가 결여된 돌연변이 마우스에서 변형된 선조체 기능. Proc. Natl. Acad. Sci. 미국 91 12564–12568. 도이: 10.1073/pnas.91.26.12564.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Drago J., Gerfen CR, Westphal H., Steiner H. (1996). D1 도파민 수용체-결핍 마우스: 코카인에 의해 유발된 초기 유전자 및 선조체에서의 물질 P 발현 조절. 신경 과학 74 813–823. doi: 10.1016/0306-4522(96)00145-5. [PubMed] [교차 참조]
  • Farooqi IS, Bullmore E., Keogh J., Gillard J., O'Rahilly S., Fletcher PC (2007). 렙틴은 선조체 부위와 인간의 식습관을 조절합니다. 과학 317 1355. doi: 10.1126/science.1144599. [PubMed] [교차 참조]
  • Fasano S., D'Antoni A., Orban PC, Valjent E., Putignano E., Vara H., 외. (2009). Ras-구아닌 뉴클레오타이드 방출 인자 1(Ras-GRF1)은 선조체에서 세포외 신호 조절 키나아제(ERK) 신호의 활성화와 코카인에 대한 장기 행동 반응을 제어합니다. Biol. 정신과 66 758-768. 도이: 10.1016/j.biopsych.2009.03.014.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Ferguson SM, Eskenazi D., Ishikawa M., Wanat MJ, Phillips PE, Dong Y., 외. (2011). 일시적인 신경 억제는 감작에서 간접 및 직접 경로의 반대 역할을 나타냅니다. Nat. 신경 과학. 14 22–24. 도이: 10.1038/nn.2703.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Fetissov SO, Meguid MM, Sato T., Zhang LH (2002). 희박하고 비만인 Zucker 속도와 음식 섭취의 시상 하부에서 도파민 수용체의 발현. 오전. J. Physiol. Regul. Integr. 비교 Physiol. 283 905-910. [PubMed]
  • Figlewicz DP, Bennett JL, Aliakbari S., Zavosh A., Sipols AJ (2008). 인슐린은 다른 CNS 부위에서 작용하여 쥐의 급성 자당 섭취와 자당 자가 투여를 감소시킵니다. 오전. J. Physiol. Regul. Integr. 비교 Physiol. 295 R388–R394. 도이: 10.1152/ajpregu.90334.2008.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Figlewicz DP, Evans SB, Murphy J., Hoen M., Baskin DG(2003). 쥐의 복측 피개 영역/흑색질(VTA/SN)에서 인슐린 및 렙틴에 대한 수용체의 발현. Brain Res. 964 107–115. doi: 10.1016/S0006-8993(02)04087-8. [PubMed] [교차 참조]
  • Fuchs RA, Tran-Nguyen LT, Weber SM, Khroyan TV, Neisewander JL(2002). 7-OH-DPAT가 코카인 추구 행동과 코카인 자가 투여의 재정립에 미치는 영향. Pharmacol. Biochem. 행동. 72 623–632. doi: 10.1016/S0091-3057(02)00731-1. [PubMed] [교차 참조]
  • Fulton S., Pissios P., Manchon RP, Stiles L., Frank L., Pothos EN 등. (2006). mesoaccumbens 도파민 경로의 렙틴 조절. 신경 51 811–822. 도이: 10.1016/j.neuron.2006.09.006. [PubMed] [교차 참조]
  • 지로 JA(2012). 선조체 중간 가시 뉴런에서 신경 전달 통합. Adv. 특급 메드 Biol. 970 407–429. doi: 10.1007/978-3-7091-0932-8_18. [PubMed] [교차 참조]
  • 고어 BB, Zweifel LS(2013). 측좌핵에서 도파민 D1 수용체 신호의 재구성은 자연 및 약물 보상 반응을 촉진합니다. J. Neurosci. 33 8640–8649. 도이: 10.1523/JNEUROSCI.5532-12.2013.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Gorwood P., Le Strat Y., Ramoz N., Dubertret C., Moalic JM, Simonneau M. (2012). 도파민 수용체와 약물 중독의 유전학. 흠. 그 가죽. 131 803–822. 도이: 10.1007/s00439-012-1145-7. [PubMed] [교차 참조]
  • 고토 Y., 그레이스 AA(2005). 목표 지향 행동에서 측좌핵의 변연계 및 피질 구동의 도파민성 조절. Nat. 신경 과학. 8 805–812. 도이: 10.1038/nn1471. [PubMed] [교차 참조]
  • 고토 Y., 오타니 S., 그레이스 AA (2007). 도파민 방출의 음과 양: 새로운 시각. 신경 약리학 53 583–587. 도이: 10.1016/j.neuropharm.2007.07.007.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Grace AA, Floresco SB, Goto Y., Lodge DJ(2007). 도파민성 뉴런의 발화 조절 및 목표 지향적 행동 제어. Trends Neurosci. 30 220–227. 도이: 10.1016/j.tins.2007.03.003. [PubMed] [교차 참조]
  • Grandy DK, Zhang YA, Bouvier C., Zhou QY, Johnson RA, Allen L., 외. (1991). 다중 인간 D5 도파민 수용체 유전자: 기능적 수용체 및 XNUMX개의 가유전자. Proc. Natl. Acad. Sci. 미국 88 9175–9179. 도이: 10.1073/pnas.88.20.9175.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Haber SN, Ryoo H., Cox C., Lu W. (1995). 원숭이의 중뇌 도파민성 뉴런의 하위 집합은 도파민 수송체에 대한 mRNA의 다른 수준으로 구별됩니다: D2 수용체, 티로신 수산화효소 및 칼빈딘 면역반응성에 대한 mRNA와 비교. J. Comp. Neurol. 362 400–410. 도이: 10.1002/cne.903620308. [PubMed] [교차 참조]
  • Halpern CH, Tekriwal A., Santollo J., Keating JG, Wolf JA, Daniels D. (2013). 쥐의 측좌핵 껍질 심부 뇌 자극에 의한 폭식의 개선은 D2 수용체 조절을 포함합니다. J. Neurosci. 33 7122–7129. 도이: 10.1523/JNEUROSCI.3237-12.2013.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Hemmings HC, Jr., Greengard P., Tung HYL, Cohen P. (1984a). 도파민 조절 신경 인단백질인 DARPP-32는 단백질 포스파타제-1의 강력한 억제제입니다. 자연 310 503–505. 도이: 10.1038/310503a0. [PubMed] [교차 참조]
  • Hemmings HC, Jr., Nairn AC, Greengard P. (1984b). DARPP-32, 도파민 및 아데노신 30:50- 모노포스페이트 조절 신경 인단백질. II. DARPP-32와 포스파타제 억제제 1의 인산화 동역학 비교. J. Biol. Chem. 259 14491-14497. [PubMed]
  • Henry DJ, Greene MA, White FJ (1989). mesoaccumbens 도파민 시스템에서 코카인의 전기생리학적 효과: 반복 투여. J. Pharmacol. 특급. Ther. 251 833-839. [PubMed]
  • Hikida T., Kimura K., Wada N., Funabiki K., Nakanishi S. (2010). 보상 및 혐오 행동에 대한 직접 및 간접 선조체 경로에서 시냅스 전달의 뚜렷한 역할. 신경 66 896–907. 도이: 10.1016/j.neuron.2010.05.011. [PubMed] [교차 참조]
  • Hommel JD, Trinko R., Sears RM, Georgescu D., Liu ZW, Gao XB 등. (2006). 중뇌 도파민 뉴런의 렙틴 수용체 신호는 섭식을 조절합니다. 신경 51 801–810. 도이: 10.1016/j.neuron.2006.08.023. [PubMed] [교차 참조]
  • Hornykiewicz O. (1966). 도파민(3-hydroxytyramine)과 뇌 기능. Pharmacol Rev. 18 925-964. [PubMed]
  • 황 XF, Zavitsanou K., 황 X., 유 Y., 왕 H., 첸 F., 외. (2006). 만성 고지방식이 유발 비만에 걸리기 쉽거나 내성이 있는 마우스의 도파민 수송체 및 D2 수용체 결합 밀도. 행동. Brain Res. 175 415–419. 도이: 10.1016/j.bbr.2006.08.034. [PubMed] [교차 참조]
  • Hubner CB, 모튼 JE(1991). 쥐의 코카인 자체 투여에 대한 선택적 D1 및 D2 도파민 길항제의 효과. 정신 약리학 (Berl.) 105 151–156. 도이: 10.1007/BF02244301. [PubMed] [교차 참조]
  • Hummel M., 운터발트 EM(2002). D1 도파민 수용체: 코카인 작용에 대한 추정되는 신경화학적 및 행동적 연결. J. 세포. Physiol. 191 17–27. 도이: 10.1002/jcp.10078. [PubMed] [교차 참조]
  • Hurd YL, Weiss F., Koob GF 및 NE, Ungerstedt U. (1989). 쥐 측좌핵의 코카인 강화 및 세포외 도파민 오버플로우: 생체 내 미세투석 연구. Brain Res. 498 199–203. doi: 10.1016/0006-8993(89)90422-8. [PubMed] [교차 참조]
  • 존슨 PM, 케니 PJ(2010). 비만 쥐의 중독과 같은 보상 기능 장애 및 강박적인 식사의 도파민 D2 수용체. Nat. 신경 과학. 13 635–641. 도이: 10.1038/nn.2519.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Kalivas PW, Duffy P. (1990). 측좌핵의 세포외 도파민에 대한 급성 및 일일 코카인 치료의 효과. 시냅스 5 48–58. 도이: 10.1002/syn.890050104. [PubMed] [교차 참조]
  • Kalivas PW, 피어스 RC, Cornish J., Sorg BA(1998). 코카인 중독에서 갈망과 재발의 감작에 대한 역할. J. Psychopharmacol. 12 49–53. 도이: 10.1177/026988119801200107. [PubMed] [교차 참조]
  • Kalivas PW, Volkow ND (2005). 중독의 신경 기초 : 동기와 선택의 병리. 오전. J. Psychiatry 162 1403–1413. 도이: 10.1176/appi.ajp.162.8.1403. [PubMed] [교차 참조]
  • Karasinska JM, George SR, Cheng R, O'Dowd BF(2005). 도파민 D1 및 D3 수용체의 결실은 자발적인 행동과 코카인 유발 운동 활동, 보상 및 CREB 인산화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Eur. J. Neurosci. 22 1741–1750. 도이: 10.1111/j.1460-9568.2005.04353.x. [PubMed] [교차 참조]
  • Karlsson RM, Hefner KR, Sibley DR, Holmes A. (2008). 코카인 운동 감작에 대한 도파민 D1 및 D5 수용체 녹아웃 마우스의 비교. 정신 약리학 (Berl.) 200 117–127. 도이: 10.1007/s00213-008-1165-0.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케바비안 JW, Calne DB (1979). 도파민에 대한 다중 수용체. 자연 277 93–96. 도이: 10.1038/277093a0. [PubMed] [교차 참조]
  • 케바비안 JW, Greengard P. (1971). 도파민 민감성 아데닐 시클라제: 시냅스 전달에서 가능한 역할. 과학 174 1346–1349. 도이: 10.1126/science.174.4016.1346. [PubMed] [교차 참조]
  • 케네디 RT, 존스 SR, Wightman RM (1992). 쥐 선조체 절편에서 도파민 자가수용체 효과의 동적 관찰. J. Neurochem. 59 449–455. 도이: 10.1111/j.1471-4159.1992.tb09391.x. [PubMed] [교차 참조]
  • 케니 PJ (2011). 비만과 약물 중독의 일반적인 세포 및 분자 메커니즘. Nat. Neurosci 목사. 12 638–651. 도이: 10.1038/nrn3105. [PubMed] [교차 참조]
  • Khroyan TV, Barrett-Larimore RL, Rowlett JK, Spealman RD (2000). 코카인 추구 행동으로의 재발에서 도파민 D1 및 D2 유사 수용체 메커니즘: 선택적 길항제 및 작용제의 효과. J. Pharmacol. 특급. Ther. 294 680-687. [PubMed]
  • Khroyan TV, Platt DM, Rowlett JK, Spealman RD(2003). 비인간 영장류에서 도파민 D1 수용체 작용제 및 길항제에 의한 코카인 추구로의 재발 감쇠. 정신 약리학 (Berl.) 168 124–131. 도이: 10.1007/s00213-002-1365-y. [PubMed] [교차 참조]
  • Kim KS, Yoon YR, Lee HJ, Yoon S., Kim S.-Y., Shin SW, et al. (2010). 도파민 D2 수용체가 결핍된 쥐에서 시상하부 렙틴 신호 전달이 강화되었습니다. J. Biol. Chem. 285 8905–8917. 도이: 10.1074/jbc.M109.079590.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김수주, 김미영, 이은주, 안영수, 백종호(2004). 도파민 D2 수용체의 두 가지 이소형에 의한 내재화 및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 활성화의 뚜렷한 조절. 몰. 엔도크리놀. 18 640–652. 도이: 10.1210/me.2003-0066. [PubMed] [교차 참조]
  • Kim SY, Choi KC, Chang MS, Kim MH, Kim SY, Na YS, et al. (2006). 도파민 D2 수용체는 세포외 신호 조절 키나제 및 Nurr1 활성화를 통해 도파민성 뉴런의 발달을 조절합니다. J. Neurosci. 26 4567–4576. 도이: 10.1523/JNEUROSCI.5236-05.2006. [PubMed] [교차 참조]
  • Kim SY, Lee HJ, Kim YN, Yoon S., Lee JE, Sun W., et al. (2008). Striatal-enriched protein tyrosine phosphatase는 세포 외 신호 조절 키나아제 신호 전달을 통해 도파민 성 신경 발달을 조절합니다. 특급. Neurol. 214 69–77. 도이: 10.1016/j.expneurol.2008.07.014. [PubMed] [교차 참조]
  • Konner AC, Hess S., Tovar S., Mesaros A., Sánchez-Lasheras C., Evers N., 외. (2011). 에너지 항상성 제어에서 카테콜아민성 뉴런에서 인슐린 신호 전달의 역할. 세포 Metab. 13 720–728. 도이: 10.1016/j.cmet.2011.03.021. [PubMed] [교차 참조]
  • 쿠리바라 H., 우치하시 Y. (1993). 도파민 길항제는 메스암페타민 감작을 억제할 수 있지만 마우스의 보행 활동으로 평가할 때 코카인 감작을 억제할 수는 없습니다. J. Pharm. Pharmacol. 45 1042–1045. 도이: 10.1111/j.2042-7158.1993.tb07177.x. [PubMed] [교차 참조]
  • Labouèbe G., Liu S., Dias C., Zou H., Wong JC, Karunakaran S., 외. (2013). 인슐린은 endocannabinoids를 통해 복부 피개 영역 도파민 뉴런의 장기 우울증을 유도합니다 Nat. 신경 과학. 16 300–308. 도이: 10.1038/nn.3321. [PubMed] [교차 참조]
  • Lacey MG, Mercuri NB, North RA(1987). 도파민은 D2 수용체에 작용하여 쥐 흑색대 치밀부의 뉴런에서 칼륨 전도도를 증가시킵니다. J. Physiol. (Lond.) 392 397-416. [PMC 무료 기사] [PubMed]
  • Lacey MG, Mercuri NB, North RA(1988). 쥐 흑질 뉴런에서 GABAB 및 도파민 D2 수용체에 의해 활성화된 칼륨 전도도 증가. J. Physiol. (Lond.) 401 437-453. [PMC 무료 기사] [PubMed]
  • 로보 MK (2010). BDNF 신호 전달의 세포 유형별 손실은 코카인 보상의 광유전학적 제어를 모방합니다. 과학 330 385–390. 도이: 10.1126/science.1188472.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로보 MK, 네슬러 EJ (2011). 약물 중독에서 선조체 균형 작용: 직접 및 간접 경로 매체 가시 뉴런의 뚜렷한 역할. 앞. 신경 아나 트. 5:41. 도이: 10.3389/fnana.2011.00041.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Luo Y., Kokkonen GC, Wang X., Neve KA, Roth GS (1998). D2 도파민 수용체는 쥐 C6-D2L 신경아교종 세포에서 백일해 독소 민감성 G 단백질과 Ras 관련 ERK 및 SAP/JNK 경로를 통해 유사분열을 자극합니다. J. 뉴로켐. 71 980–990. 도이: 10.1046/j.1471-4159.1998.71030980.x. [PubMed] [교차 참조]
  • Lüscher C., 말렌카 RC(2011). 중독에서 약물 유발 시냅스 가소성: 분자 변화에서 회로 리모델링까지. 신경 69 650–663. 도이: 10.1016/j.neuron.2011.01.017. [PubMed] [교차 참조]
  • Martinez D., Broft A., Foltin RW, Slifstein M., 황 DR, 황 Y., 외. (2004). 선조체의 기능적 세분에서 코카인 의존성과 d2 수용체 가용성: 코카인 추구 행동과의 관계. Neuropsychopharmacology 29 1190–1202. 도이: 10.1038/sj.npp.1300420. [PubMed] [교차 참조]
  • Mattingly BA, Hart TC, Lim K., Perkins C. (1994). 도파민 D,- 및 D-수용체의 선택적 길항 작용은 코카인에 대한 행동 감작의 발달을 차단하지 않습니다. 정신 약리학 114 239–242. 도이: 10.1007/BF02244843. [PubMed] [교차 참조]
  • Miner LL, Drago J., Chamberlain PM, Donovan D., Uhl GR(1995). D1 수용체 결핍 마우스에서 유지된 코카인 조건부 선호도. Neuroreport 6 2314–2316. 도이: 10.1097/00001756-199511270-00011. [PubMed] [교차 참조]
  • Missale C., Nash SR, Robinson SW, Jaber M., Caron MG (1998). 도파민 수용체: 구조에서 기능으로. Physiol. 회전. 78 189-225. [PubMed]
  • Montmayeur JP, Bausero P., Amlaiky N., Maroteaux L., Hen R., Borrelli E. (1991). 마우스 D2 도파민 수용체 이소형의 차등 발현. FEBS Lett. 278 239-243. 도이: 10.1016/0014-5793(91)80125-M. [PubMed] [교차 참조]
  • Moyer RA, Wang D., Papp AC, Smith RM, Duque L., Mash DC 등. (2011). 인간 도파민 D2 수용체의 선택적 스플라이싱에 영향을 미치는 인트론 다형성은 코카인 남용과 관련이 있습니다. Neuropsychopharmacology 36 753–762. 도이: 10.1038/npp.2010.208.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Nazarian A., Russo SJ, Festa ED, Kraish M., Quinones-Jenab V. (2004). 수컷과 암컷 쥐의 코카인 조절 장소 선호도에서 D1 및 D2 수용체의 역할. Brain Res. 황소. 63 295–299. 도이: 10.1016/j.brainresbull.2004.03.004. [PubMed] [교차 참조]
  • Neisewander JL, Fuchs RA, O'Dell LE, Khroyan TV(1998). intraaccumbens 코카인 주입에 의해 생성 된 도파민 D23390 수용체 점유 및 운동에 대한 SCH-1의 효과. 시냅스 30 194–204. doi: 10.1002/(SICI)1098-2396(199810)30:2<194::AID-SYN9>3.0.CO;2-7. [PubMed] [교차 참조]
  • Neisewander JL, O'Dell LE, Redmond JC (1995). 코카인 유발 운동을 역전시키는 측좌 내 길항제가 차지하는 도파민 수용체 아형의 국소화. Brain Res. 671 201–212. 도이: 10.1016/0006-8993(94)01317-B. [PubMed] [교차 참조]
  • Nestler EJ, Carlezon WA, Jr(2006). 우울증의 중변연계 도파민 보상 회로. Biol. 정신과 59 1151-1159. 도이: 10.1016/j.biopsych.2005.09.018. [PubMed] [교차 참조]
  • Nishi A., Snyder G. L, Greengard P. (1997). 도파민에 의한 DARPP-32 인산화의 양방향 조절. J. Neurosci. 17 8147-8155. [PubMed]
  • 노먼 AB, 노먼 MK, 홀 JF, Tsibulsky VL (1999). 프라이밍 역치: 코카인 자체 투여의 회복에 대한 새로운 정량적 측정. Brain Res. 831 165–174. doi: 10.1016/S0006-8993(99)01423-7. [PubMed] [교차 참조]
  • Onali P., Oliansa MC, Bunse B. (1988). 아데노신 A2와 도파민 자가수용체가 쥐의 선조체 시냅토솜에서 티로신 수산화효소 활성을 길항적으로 조절한다는 증거. Brain Res. 456 302–309. doi: 10.1016/0006-8993(88)90232-6. [PubMed] [교차 참조]
  • Overton PG, 클라크 D. (1997). 중뇌 도파민성 뉴런에서 폭발 발사. Brain Res. 회전. 25 312–334. doi: 10.1016/S0165-0173(97)00039-8. [PubMed] [교차 참조]
  • 팔미터 RD(2007). 도파민은 섭식 행동의 생리학적 관련 매개체입니까? Trends Neurosci. 30 375–381. 도이: 10.1016/j.tins.2007.06.004. [PubMed] [교차 참조]
  • Parsons LH, Justice JB, Jr(1993). 반복되는 코카인 투여 후 측좌핵, 복부 피개 영역 및 등쪽 솔기 핵의 세로토닌 및 도파민 감작. J. Neurochem. 61 1611–1619. 도이: 10.1111/j.1471-4159.1993.tb09794.x. [PubMed] [교차 참조]
  • Pascoli V., Besnard A., Herve D., 페이지 C., Heck N., Girault JA, 외. (2011). NR2B의 사이클릭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비의존적 티로신 인산화는 코카인 유도 세포외 신호 조절 키나아제 활성화를 매개합니다. Biol. 정신과 69 218-227. 도이: 10.1016/j.biopsych.2010.08.031. [PubMed] [교차 참조]
  • Paul S., Nairn AC, Wang P., Lombroso PJ (2003). 티로신 포스파타제 STEP의 NMDA 매개 활성화는 ERK 신호 전달 기간을 조절합니다. Nat. 신경 과학. 6 34–42. 도이: 10.1038/nn989. [PubMed] [교차 참조]
  • Pettit HO, Ettenberg A., Bloom FE, Koob GF(1984). 측좌핵에서 도파민의 파괴는 선택적으로 코카인을 약화시키지만 쥐의 헤로인 자가 투여는 약화시키지 않습니다. 정신 약리학 (Berl.) 84 167–173. 도이: 10.1007/BF00427441. [PubMed] [교차 참조]
  • Pettit H. O, Justice JBJ (1989). 생체 내 미세 투석에 의해 연구된 바와 같이 코카인 자가 투여 동안 측좌핵의 도파민. Pharmacol. Biochem. 행동. 34 899–904. doi: 10.1016/0091-3057(89)90291-8. [PubMed] [교차 참조]
  • Pothos EN, Davila V., Sulzer D. (1998). 중뇌 도파민 뉴런의 양자의 시냅스 전 기록 및 양자 크기의 변조. J. Neurosci. 18 4106-4118. [PubMed]
  • Pozzi L., Håkansson K., Usiello A., Borgkvist A., Lindskog M., Greengard P., 외. (2003). 마우스 등쪽 선조체에서 ERK1/2, CREB 및 Elk-1 인산화의 전형적인 및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반대 조절. J. Neurochem. 86 451–459. 도이: 10.1046/j.1471-4159.2003.01851.x. [PubMed] [교차 참조]
  • Robinson TE, Berridge KC (1993). 약물 갈망의 신경 기초 : 중독에 대한 인센티브 민감성 이론. Brain Res. Brain Res. 회전. 18 247-291. 도이: 10.1016/0165-0173(93)90013-P. [PubMed] [교차 참조]
  • 살라몬 JD, 코레아 M. (2013). 도파민과 음식 중독: 사전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Biol. 정신과 73 15~24면. 도이: 10.1016/j.biopsych.2012.09.027. [PubMed] [교차 참조]
  • 살라몬 JD, 마한 K., 로저스 S. (1993). Ventrolateral striatal 도파민 고갈은 쥐의 먹이와 음식 취급을 손상시킵니다. Pharmacol. Biochem. 행동. 44 605–610. 도이: 10.1016/0091-3057(93)90174-R. [PubMed] [교차 참조]
  • 슈미트 HD, 피어스 RC(2010). 글루타메이트 전송에서 코카인 유도 신경 적응: 갈망과 중독에 대한 잠재적인 치료 목표. 앤. NY Acad. Sci. 1187 35–75. 도이: 10.1111/j.1749-6632.2009.05144.x. [PubMed] [교차 참조]
  • 슐츠 W. (2007). 행동 도파민 신호. Trends Neurosci. 30 203–210. 도이: 10.1016/j.tins.2007.03.007. [PubMed] [교차 참조]
  • 슐츠 W. (2012). 도파민 보상 신호 업데이트. Curr. Opin. Neurobiol. 23 229–238. 도이: 10.1016/j.conb.2012.11.012. [PubMed] [교차 참조]
  • 자기 DW, Barnhart WJ, Lehman DA, Nestler EJ(1996). D1- 및 D2 유사 도파민 수용체 작용제에 의한 코카인 추구 행동의 반대 조절. 과학 271 1586–1589. 도이: 10.1126/science.271.5255.1586. [PubMed] [교차 참조]
  • Sesack SR, Aoki C., Pickel VM(1994). 중뇌 도파민 뉴런 및 이들의 선조체 표적에서의 D2 수용체-유사 면역반응성의 초미세구조 국소화. J. Neurosci. 14 88-106. [PubMed]
  • Shaham Y., Shalev U., Lu L., De Wit H., Stewart J. (2003). 약물 재발의 복직 모델: 역사, 방법론 및 주요 결과. 정신 약리학 (Berl.) 168 3–20. 도이: 10.1007/s00213-002-1224-x. [PubMed] [교차 참조]
  • Shiflett MW, Balleine BW (2011). 기악 학습 및 수행에 대한 선조체의 ERK 신호 전달의 기여. 행동. Brain Res. 218 240–247. 도이: 10.1016/j.bbr.2010.12.010.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Shippenberg TS, Heidbreder C. (1995). 코카인의 조건 보상 효과에 대한 민감화: 약리학적 및 시간적 특성. J. Pharmacol. 특급. Ther. 273 808-815. [PubMed]
  • Sim HR, Choi TY, Lee HJ, Kang EY, Yoon S., Han PL, et al. (2013). 스트레스 유발 중독 행동의 가소성에서 도파민 D2 수용체의 역할. Nat. 코뮌. 4 1579. doi: 10.1038/ncomms2598. [PubMed] [교차 참조]
  • 작은 DM, Jones-Gotman M., Dagher A. (2003). 등쪽 선조체에서 섭식 유발 도파민 방출은 건강한 인간 지원자의 식사 쾌감 등급과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신경 이미지 19 1709–1715. doi: 10.1016/S1053-8119(03)00253-2. [PubMed] [교차 참조]
  • Smith JW, Fetsko LA, Xu R., Wang Y. (2002). 도파민 D2L 수용체 녹아웃 마우스는 모르핀의 양성 및 음성 강화 특성과 회피 학습에서 결손을 나타냅니다. 신경 과학 113 755–765. doi: 10.1016/S0306-4522(02)00257-9. [PubMed] [교차 참조]
  • Sokoloff P., Giros B., Martres MP, Boutthenet ML, Schwartz JC (1990). 신경이완제의 표적으로서 새로운 도파민 수용체(D3)의 분자 클로닝 및 특성화. 자연 347 146–151. 도이: 10.1038/347146a0. [PubMed] [교차 참조]
  • Spealman RD, Barrett-Larimore RL, Rowlett JK, Platt DM, Khroyan TV(1999). 코카인 추구 행동에 대한 재발의 약리학적 및 환경적 결정요인. Pharmacol. Biochem. 행동. 64 327–336. doi: 10.1016/S0091-3057(99)00049-0. [PubMed] [교차 참조]
  • Spyraki C., Fibiger HC, Phillips AG(1982). 코카인 유발 장소 선호 조절: 신경이완제 및 6-하이드록시도파민 병변의 효과 부족. Brain Res. 253 195–203. doi: 10.1016/0006-8993(82)90686-2. [PubMed] [교차 참조]
  • Stice E., Spoor S., Bohon C., Small DM(2008a). 비만과 음식에 대한 무딘 선조체 반응 사이의 관계는 TaqIA A1 대립유전자에 의해 조절됩니다. 과학 322 449–452. 도이: 10.1126/science.1161550.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Stice E., Spoor S., Bohon C., Veldhuizen M., Small DM(2008b). 음식 섭취 보상과 예상 섭취량과 비만의 관계: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 연구. J. Abnorm. Psychol. 117 924–935. 도이: 10.1037/a0013600.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Stice E., Yokum S., Zald D., Dagher A. (2011). 도파민 기반 보상 회로 반응성, 유전학 및 과식. Curr. 상단. 행동. 신경 과학. 6 81–93. 도이: 10.1007/7854_2010_89. [PubMed] [교차 참조]
  • Steketee JD (1998). 복부 피개 영역에 SCH 23390을 주입하면 코카인에 대한 행동 감작이 아니라 신경 화학적 발달이 차단됩니다. 행동. Pharmacol. 9 69-76. [PubMed]
  • Steketee JD, Kalivas PW(2011). 약물 부족: 행동 감작 및 약물 추구 행동으로의 재발. Pharmacol. 회전. 63 348–365. 도이: 10.1124/pr.109.001933.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Sunahara RK, Guan HC, O'Dowd BF, Seeman P., Laurier LG, Ng G., 외. (1991). D5보다 도파민에 대해 더 높은 친화성을 갖는 인간 도파민 D1 수용체에 대한 유전자의 클로닝. 자연 350 614–619. 도이: 10.1038/350614a0. [PubMed] [교차 참조]
  • 스웨트 JD(2004). 시냅스 가소성 및 기억에서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 Curr. Opin. Neurobiol. 14 311–317. 도이: 10.1016/j.conb.2004.04.001. [PubMed] [교차 참조]
  • Tanabe LM, Suto N., Creekmore E., Steinmiller CL, Vezina P. (2004). VTA에서 D2 도파민 수용체의 차단은 암페타민의 운동 활성화 효과의 오래 지속되는 향상을 유도합니다. 행동. Pharmacol. 15 387–395. 도이: 10.1097/00008877-200409000-00013. [PubMed] [교차 참조]
  • Thanos PK, Volkow ND, Freimuth P., Umegaki H., Ikari H., Roth G. 등 (2001). 도파민 수용체의 과발현은 알코올 자가투여를 감소시킨다. J. Neurochem. 78 1094–1103. 도이: 10.1046/j.1471-4159.2001.00492.x. [PubMed] [교차 참조]
  • Thomas GM, Huganir RL(2004). MAPK 캐스케이드 신호 및 시냅스 가소성. Nat. Neurosci 목사. 5 173–183. 도이: 10.1038/nrn1346. [PubMed] [교차 참조]
  • Thomas MJ, Beurrier C., Bonci A., Malenka RC(2001). 측좌핵의 장기 우울증: 코카인에 대한 행동 감작의 신경 상관관계. Nat. 신경 과학. 4 1217–1223. 도이: 10.1038/nn757. [PubMed] [교차 참조]
  • Thomas MJ, Kalivas PW, Shaham Y. (2008). mesolimbic 도파민 시스템과 코카인 중독의 신경 가소성. Br. J. Pharmacol. 154 327–342. 도이: 10.1038/bjp.2008.77.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Tritsch NX, Sabatini BL(2012). 피질 및 선조체에서 시냅스 전달의 도파민성 조절. 신경 76 33–50. 도이: 10.1016/j.neuron.2012.09.023. [PubMed] [교차 참조]
  • Ushijima I., Carino A., Horita A. (1995). 쥐에서 코카인의 행동 효과에 D1 및 D2 도파민 시스템이 관여합니다. Pharmacol. Biochem. 행동. 52 737–741. 도이: 10.1016/0091-3057(95)00167-U. [PubMed] [교차 참조]
  • Usiello A., Baik JH, Rouge-Pont F., Picetti R., Dierich A., LeMeur M., 외. (2000). 도파민 D2 수용체의 두 가지 동형체의 뚜렷한 기능. 자연 408 199–202. 도이: 10.1038/35041572. [PubMed] [교차 참조]
  • Valjent E., Corvol JC, Pages C., Besson MJ, Maldonado R., Caboche J. (2000). 코카인 보상 특성에 대한 세포 외 신호 조절 키나아제 캐스케이드의 관련. J. Neurosci. 20 8701-8709. [PubMed]
  • Valjent E., Pascoli V., Svenningsson P., Paul S., Enslen H., Corvol JC, 외. (2005). 단백질 포스파타제 캐스케이드의 조절은 도파민과 글루타메이트 신호가 수렴하여 선조체에서 ERK를 활성화하도록 합니다. Proc. Natl. Acad. Sci. 미국 102 491–496. 도이: 10.1073/pnas.0408305102.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Vanderschuren LJ, Kalivas PW (2000). 행동 감작의 유도 및 발현에서 도파민성 및 글루탐산성 전달에 대한 변경: 전임상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신 약리학 (Berl.) 151 99–120. 도이: 10.1007/s002130000493. [PubMed] [교차 참조]
  • Vanover KE, Kleven MS, Woolverton WL (1991). D(1) 도파민 길항제 SCH-39166 및 A-66359를 사용하여 붉은 털 원숭이에서 코카인의 차별적 자극 효과 차단. 행동. Pharmacol. 2 151–159. 도이: 10.1097/00008877-199104000-00007. [PubMed] [교차 참조]
  • Van Tol HH, Bunzow JR, Guan HC, Sunahara RK, Seeman P., Niznik HB 등 (1991). 항정신병 클로자핀에 대해 높은 친화력을 갖는 인간 도파민 D4 수용체에 대한 유전자의 클로닝. 자연 350 610–614. 도이: 10.1038/350610a0. [PubMed] [교차 참조]
  • Volkow ND, Fowler JS, Wang GJ, Hitzemann R., Logan J., Schlyer DJ 등 (1993) 도파민 D2 수용체 가용성 감소는 코카인 남용자의 전두엽 대사 감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시냅스 14 169–177. 도이: 10.1002/syn.890140210. [PubMed] [교차 참조]
  • Volkow ND, 왕 GJ, 베일러 RD(2011). 보상, 도파민 및 음식 섭취 조절: 비만에 미치는 영향. 트렌드 Cogn. Sci. 15:37~46. 도이: 10.1016/j.tics.2010.11.001.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Volkow ND, 왕 GJ, Begleiter H., Porjesz B., 파울러 JS, Telang F., 외. (2006). 알코올 중독 가족의 영향을 받지 않은 구성원의 높은 수준의 도파민 D2 수용체: 가능한 보호 요인. 아치. Gen. Psychiatry 63 999–1008. 도이: 10.1001/archpsyc.63.9.999. [PubMed] [교차 참조]
  • Volkow ND, Wang GJ, Telang F., Fowler JS, Thanos PK, Logan J. 등 (2008). 낮은 도파민 선조체 D2 수용체는 비만 환자의 전전두엽 대사와 관련이 있습니다: 가능한 기여 요인. 신경 이미지 42 1537–1543. 도이: 10.1016/j.neuroimage.2008.06.002.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왕 C., 벅 DC, 양 R., 메이시 TA, 네브 카 (2005).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의 세포 유형 의존적 트랜스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의 도파민 D2 수용체 자극. J. Neurochem. 93 899–909. 도이: 10.1111/j.1471-4159.2005.03055.x. [PubMed] [교차 참조]
  • Wang GJ, Volkow ND, Logan J., Pappas NR, Wong CT, Zhu W., 등. (2001). 두뇌 도파민과 비만. 랜싯 357 354–357. doi: 10.1016/S0140-6736(00)03643-6. [PubMed] [교차 참조]
  • 왕 GJ, Volkow ND, 타노스 PK, 파울러 JS(2009). 뇌 도파민 경로의 이미징: 비만 이해에 대한 의미. J. Addict. Med. 3 8–18. doi: 10.1097/ADM.0b013e31819a86f7.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웨일스어 GI, Hall DA, Warnes A., Strange PG, Proud CG(1998). D70 도파민 수용체에 의한 미세소관 관련 단백질 키나아제(Erk) 및 p6, S2 키나아제의 활성화. J. Neurochem. 70 2139–2146. 도이: 10.1046/j.1471-4159.1998.70052139.x. [PubMed] [교차 참조]
  • Welter M., Vallone D., Samad TA, Meziane H., Usiello A., Borrelli E. (2007). 도파민 D2 수용체의 부재는 코카인에 의해 활성화된 뇌 회로에 대한 억제 제어를 드러냅니다. Proc. Natl. Acad. Sci. 미국 104 6840–6845. 도이: 10.1073/pnas.0610790104.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화이트 FJ, Joshi A., Koeltzow TE, Hu X.-T. (1998). 도파민 수용체 길항제는 코카인 감작 유도를 막지 못합니다. Neuropsychopharmacology 18 26–40. doi: 10.1016/S0893-133X(97)00093-6. [PubMed] [교차 참조]
  • White FJ, Wang RY (1984). 만성 D-암페타민 치료 후 A10 도파민 자가수용체 감수성에 대한 전기생리학적 증거. Brain Res. 309 283–292. doi: 10.1016/0006-8993(84)90594-8. [PubMed] [교차 참조]
  • 현명한 RA(2004). 도파민, 학습 및 동기 부여. Nat. Neurosci 목사. 5 483–494. 도이: 10.1038/nrn1406. [PubMed] [교차 참조]
  • Woolverton WL (1986). 붉은 털 원숭이에 의한 코카인 및 피리베딜의 자가 투여에 대한 D1 및 D2 도파민 길항제의 효과. Pharmacol. Biochem. 행동. 24 531–535. doi: 10.1016/0091-3057(86)90553-8. [PubMed] [교차 참조]
  • Xu M., Hu XT, Cooper DC, Graybiel AM, White FJ, Tonegawa S. (1994). 도파민 D1 수용체 돌연변이 마우스에서 코카인 유발 과잉행동 및 도파민 매개 신경생리학적 효과 제거. 세포 79 945–955. doi: 10.1016/0092-8674(94)90026-4. [PubMed] [교차 참조]
  • 윤소백, 백정호(2013). 디스인테그린 및 메탈로프로테아제를 통한 도파민 D2 수용체-매개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트랜스활성화는 세포외 신호-관련 키나아제 활성화를 통해 도파민성 뉴런 발달을 조절한다. J. Biol. Chem. [인쇄 전 Epub] doi: 10.1074/jbc.M113.461202.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윤소현, 최명화, 장현석, 백정호(2011). Wnt5a-도파민 D2 수용체 상호작용은 세포외 신호 조절 키나아제(ERK) 활성화를 통해 도파민 뉴런 발달을 조절합니다. J. Biol. Chem. 286 15641–15651. 도이: 10.1074/jbc.M110.188078. [PMC 무료 기사] [PubMed] [교차 참조]
  • Zahniser NR, Goens MB, Hanaway PJ, Vinych JV(1984). 쥐 뇌에서 인슐린 수용체의 특성화 및 조절. J. Neurochem. 42 1354–1362. 도이: 10.1111/j.1471-4159.1984.tb02795.x. [PubMed] [교차 참조]
  • Zhou QY, Grandy DK, Thambi L., Kushner JA, Van Tol HH, Cone R., 외. (1990). 인간 및 쥐 D1 도파민 수용체의 클로닝 및 발현. 자연 347 76–80. 도이: 10.1038/347076a0. [PubMed] [교차 참조]
  • Zhou QY, Palmiter RD (1995). 도파민이 결핍된 쥐는 활동이 심하게 저하되고, 지방질이 있으며, 식곤증이 있습니다. 세포 83 1197–1209. doi: 10.1016/0092-8674(95)90145-0. [PubMed] [교차 참조]
  • Zito KA, 비커스 G., 로버츠 DC (1985). 측좌핵의 카이닌산 병변에 따른 코카인 및 헤로인 자가 투여 중단. Pharmacol. Biochem. 행동. 23 1029–1036. doi: 10.1016/0091-3057(85)90110-8. [PubMed] [교차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