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사용 장애와 주의력 결핍 과다 행동 장애의 합병증 : 성인 2 예 (2017)

J Behav Addict. 2017 12 월 1, 6 (4) : 490-504. doi : 10.1556 / 2006.6.2017.073.

빌레펠트 남1, 드류스 M2, 푸치히 I3, 보텔엘1, 스타인뷔헬 T1, 디에리스-히르헤 J1, 시치크 GR4, ül 러 A5, 로이 엠6, 옴마이어 M7, 테오도르 테 빌트 B1.

추상

목표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ADHD)가 성인기 중독성 장애의 예측 인자이자 합병증이라는 좋은 과학적 증거가 있습니다. 이 협회는 물질 관련 중독뿐만 아니라 도박 장애 및 인터넷 사용 장애 (IUD)와 같은 행동 중독에 초점을 맞 춥니 다. IUD의 경우 체계적인 리뷰를 통해 ADHD가 우울증과 불안 장애 외에도 가장 흔한 합병증 중 하나로 확인되었습니다. 그러나 특정 치료와 예방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두 질환 간의 연관성을 더 깊이 이해할 필요가있다. 이것은 지금까지 이러한 관계에 대해 거의 알려지지 않은 성인 임상 인구 집단에서 특히 그러합니다. 이 연구는 IUD와 ADHD 사이의 정신 병리학 및 병인학의 결정적인 교차가 있다는 일반적인 가설에 근거하여이 문제를 더 자세히 조사하기위한 것입니다.

행동 양식

XNUMX개의 케이스 컨트롤 샘플이 대학 병원에서 검사되었습니다. 성인 ADHD 및 IUD 환자는 종합적인 임상 및 심리 측정 검사를 거쳤습니다.

결과

우리는 ADHD와 IUD가 정신병리학적 특징을 공유한다는 가설에 대한 지지를 찾았습니다. 각 그룹의 환자들 사이에서 IUD와 그 반대의 동반이환 ADHD의 상당한 유병률을 발견했습니다. 또한, ADHD 증상은 두 샘플 모두에서 미디어 사용 시간 및 인터넷 중독 증상과 긍정적인 관련이 있었습니다.

토론

임상 개업의는 진단적으로나 치료적으로 두 질환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치료 및 재활을 통해 자신의 인터넷 사용에 대한 통제력을 회복하려면 의사와 환자 측에서 잠재적인 중독의 변화를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키워드 :인터넷 사용 장애; 주의 결핍 과잉 행동 장애; 온라인 중독

PMID : 29280392

DOI : 10.1556/2006.6.2017.073

개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가 예측인자라는 강력한 과학적 증거가 있습니다.비더만 외, 1995) 및 많은 중독성 장애에 대한 특징적인 동반이환(Gillberg et al., 2004). 약물 사용 장애가 있는 대규모 유럽 환자 샘플 내에서 13.9%가 성인 ADHD로 확인되었습니다.반 Emmerik-van Oortmerssen 외, 2014) 국가 및 사용되는 주요 물질로 인해 큰 변동성(반 드 글린드 외, 2014). ADHD는 특징적으로 주의력과 집중의 어려움, 과도한 활동, 행동 조절의 문제 등을 동반하는 정신질환으로 개인의 나이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특히 ADHD가 청소년기 및 성인기 전반에 걸쳐 지속되는 경우 약 36.3%의 경우에 해당합니다.Kessler et al., 2005), 알코올 중독으로 발전할 위험(비더만 외, 1995), 니코틴 (윌렌스 외, 2008) 또는 코카인과 같은 불법 약물(캐롤 & Rounsaville, 1993) 높다. 메틸페니데이트(MPH)와 같은 각성제는 효과적인 약물 역할을 하기 때문에(Van der Oord, Prins, Oosterlaan, & Emmelkamp, ​​2008), ADHD 환자의 약물 사용 및 남용도 자가 치료 방법으로 해석되었습니다(Han et al., 2009). 게다가, 높은 수준의 충동성은 ADHD 환자 모두에게 특징적입니다.윈스탠리, 이글, 로빈스, 2006) 및 물질 사용 장애(드 위트, 2009).

ADHD는 또한 ICD-10(세계 보건기구, 1992)는 여전히 충동 조절 장애로 분류됩니다. 이에 반해 2013년 제XNUMX판은 정신 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DSM-5; 미국 정신과 학회, 2013) 물질 및 비물질 사용 장애에 대한 공통 기반을 확립했습니다. "물질 관련 및 중독성 장애" 장 내에서 지금은 "도박 장애"라고 불리는 유일한 행동 중독입니다. 그러나 DSM-5의 섹션 III에서 인터넷 게임 장애(IGD)는 별개의 장애로 완전히 인식되기 전에 더 많은 임상 연구와 경험을 보증하는 조건으로 처음 언급됩니다.Petry & O'Brien, 2013 년). IGD는 실제로 가장 많이 연구된 인터넷 중독의 특정 변종입니다(영, 1996) 가장 높은 유병률(Rehbein, Kliem, Baier, Mößle, & Petry, 2015 년). 이러한 발전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특히 온라인 게임과 온라인 도박이 점차 공통 기능을 공유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넷과는 별개로, 비디오 게임 중독은 이미 여러 방식으로 ADHD 정신병리와 연결되어 있습니다.아르피 & 부바르, 2008; 엔 외, 2017). 체계적 검토는 ADHD를 전형적인 예측 인자로 확인했습니다(Weiss, Baer, ​​Allan, Saran, & Schibuk, 2011년) 및 합병증(Weinstein & Weizman, 2012 년)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의 IGD. 또한 준임상적 수준의 과잉행동, 충동성, 부주의, 집중력 부족, 인지 작업에 대한 집중은 오프라인과 온라인 모두에서 비디오 게임의 과도한 사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스윙, 이방인, Anderson, & Walsh, 2010). 과도한 TV 사용(Miller et al., 2007), 일반적으로 스크린 미디어의 과도한 사용, 특히 비디오 게임이 증상일 뿐이 아닌지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에 기여 of 뿐만 아니라 위험 요소 for ADHD의 발달(와이즈 등, 2011).

특정 온라인 애플리케이션의 과도한 사용과 ADHD 사이의 관계는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게임 등과 같은 온라인 활동은 지속적인 자극과 즉각적인 보상을 제공하며, 이는 쉽게 지루해하는 경향이 있는 ADHD 개인에게 매우 높이 평가됩니다.카스텔라노스 & 타녹, 2002) 그리고 지연된 만족을 싫어한다(다이아몬드, 2005). 다른 연구에서는 이 연결이 ADHD의 중요한 endophenotype으로 확인된 ADHD의 손상된 작업 기억 기능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습니다.카스텔라노스 & 타녹, 2002). 이를 참조하면,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게임과 같은 온라인 애플리케이션은 이러한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미션 목표 표시를 통해 즉각적인 지원을 제공하므로 실생활에서 좌절감과 열악한 성능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ADHD가 있는 개인은 복잡한 온라인 게임 응용 프로그램을 선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병적인 미디어 사용을 개발하는 데 더 취약합니다.Yen, Yen, Chen, Tang, Ko, 2008). 흥미롭게도 Koepp et al. (1998)는 비디오 게임이 선조체 도파민 방출로 이어져 집중력과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는 실생활에서 인지 능력이 손상된 개인에게 안도감으로 인식될 수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이것은 특별히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에 적합합니다. 진지한 게임들 뉴로피드백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ADHD 환자의 오프라인 치료(라우, 스밋, 플레밍, & 리퍼, 2017). 오늘날 비디오 게임은 주로 온라인 장치와 온라인 모드에서 플레이됩니다. 더욱이 온라인 게임은 도박, 쇼핑, 소셜 네트워킹의 측면을 점진적으로 통합합니다.Gainsbury, Hing, Delfabbro, & King, 2014 년), 중독성 기능이 더 포함되어 있습니다. ADHD와 관련된 도박 장애, 병적 구매 및 성욕 과잉 장애와 같은 유사한 행동 중독(Blankenship & 레이저, 2004; Brook, Chenshu, Brook, & Leukefeld, 2016), 온라인에서 점점 더 많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새로운 역동성과 현상학(디트마, 롱 & 본드, 2007; 영, 2008). 디지털 전송 및 합병 측면에서 이러한 지속적인 발전을 고려할 때 IGD 이외의 다른 구체적이고 일반적인 형태의 과도하거나 중독된 인터넷 사용을 주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 전문가들은 인터넷 사용 장애(IUD; Internet use 미국 정신과 학회, 2013)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통제할 수 없는 과도한 인터넷 사용을 말합니다. 사실 IUD는 이미 ADHD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우울증 및 불안 장애 다음으로 일반적으로 IUD의 특징적인 동반이환으로 밝혀졌습니다.Ko, Yen, Yen, Chen, Chen, 2012). 또한 ADHD와 IUD를 모두 앓고 있는 환자는 다른 형태의 중독이 발생할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임상적 맥락에서 이것은 주목할 만한 발견인데, 이러한 환자들은 금단과 재활을 통해 중독 병리의 잠재적인 변화에 관한 뚜렷한 인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특히 성인 임상 인구에서 IUD와 ADHD 사이의 중복 및 연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임상적 관점에서 ADHD와 IUD의 관계를 더 자세히 조사하는 것이 이치에 맞습니다. 대부분 준임상 수준에서 이러한 문제를 다루는 대규모 코호트에 대한 여러 연구가 있었습니다.엔 외, 2008). 그러나 ADHD로 구성된 임상 샘플에 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습니다.Han et al., 2009) 또는 문제가 있는 인터넷 사용(PIU) 환자(Bernardi & Pallanti, 2009 년). 우리가 아는 한, 이것은 성인 ADHD 환자 그룹과 성인 IUD 환자 그룹을 대조군뿐만 아니라 서로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더 자세히 조사한 첫 번째 연구입니다. 이 연구는 치료 및 예방 의학에서 뚜렷하게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는 정신 병리학의 결정적인 교차점이 있다는 가설에서 비롯됩니다. 보다 정확하게는 ADHD 측정치가 인터넷 중독 측정치와 상당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행동 양식

Hannover Medical School(MHH)에서 25개의 임상 그룹(ADHD 및 IUD)과 XNUMX개의 대조군을 모집했습니다. 각각 XNUMX명의 참가자로 구성된 이 절차를 통해 각 임상 그룹을 각각의 대조군과 비교하고 두 임상 그룹을 서로 비교할 수 있었습니다. 첫 번째 예약 내에서 치료를 받을 의사가 있는 환자는 진단 인터뷰를 통해 철저히 평가되었습니다. 각각 ADHD 또는 IUD의 기준을 충족하는 사람들은 두 번째 약속에서 수행되는 연구에 참여하도록 초대되었습니다.

ADHD 그룹과 통제 그룹

ADHD 그룹의 참가자는 MHH의 성인 ADHD 외래 환자 클리닉에서 독점적으로 모집되었습니다. 환자들은 ADHD 증상 및 동반 질환에 대한 철저한 진단 평가를 받았습니다. 진단 과정 내에서 개인은 진단 주요 도구인 DSM-IV에 대한 Conners의 성인 ADHD 진단 인터뷰(CAADID; 임상 인터뷰)에 초대되었습니다. 엡스타인, 존슨, 코너스, 2001). 여기에서 ADHD의 18가지 DSM-IV 기준은 아동기 및 성인기 모두에 관한 부주의(6개 항목) 및 과잉 행동/충동성(3/1.5 항목)의 두 가지 임상 영역으로 세분화되어 철저한 탐색을 통해 평가되었습니다. ADHD는 DSM-IV 기준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진단되었습니다. 즉, 50가지 증상 중 최소 18가지가 아동기 및 성인기에 하나 또는 두 영역 모두에 나타나야 합니다. 평가는 자체 보고 설문지로 보완되었습니다(아래 참조). 65년의 기간 동안 100~15세 사이의 ADHD 진단을 받고 평균 언어 지능 수준[다중 선택 어휘 지능 테스트(MWT-B) IQ 25 ±50]. 총 XNUMX명의 환자가 설문 조사에 응답했으며 응답률은 XNUMX%입니다. 같은 기간에 대조군은 성별, 연령, 학교 교육 분포 측면에서 MHH 매칭 내 공지를 통해 모집되었습니다. 대조군의 포함 기준은 평균 언어 지능 수준 및 정신 질환 병력의 부재였습니다. 컨트롤은 ADHD 및 IUD에 대해 스크리닝되었습니다.

IUD 그룹 및 대조군

IUD 그룹은 인터넷 중독을 전문으로 하는 미디어 관련 장애에 대한 MHH의 외래 환자 클리닉에서 모집되었습니다. 포함 기준은: Young의 기준에 따른 IUD의 진단(1996) 및 수염 (수염과 늑대, 2001) (테이블 1) 및 치료 의향, 18세에서 65세 사이의 연령, 평균 언어 지능 수준. 포함 기준이 충족되면 기억 상실 정보 수집이 포함된 임상 인터뷰에 참가자를 초대했습니다. 통제 그룹의 참가자는 MHH 내에서 모집되었고 성별, 연령 및 학교 교육의 해당 분포에 대해 일치되었습니다. 대조군의 포함 기준은 평균 언어 지능 수준 및 정신 질환 병력의 부재였습니다. 컨트롤은 ADHD 및 IUD에 대해 스크리닝되었습니다. 총 25명의 IUD 참가자와 25명의 대조군이 모집되어 결과적으로 연구에 포함되었습니다.

작업대

테이블 1. 인터넷 사용 장애의 진단 기준
 

테이블 1. 인터넷 사용 장애의 진단 기준

다음(1–5)이 모두 있어야 합니다.
1. 인터넷에 몰두합니다(이전 온라인 활동에 대해 생각하거나 다음 온라인 세션을 예상합니다).
2. 만족감을 얻기 위해 인터넷 사용 시간을 늘려야 합니다.
3. 인터넷 사용을 통제, 축소 또는 중지하려는 노력이 실패했습니다.
4. 인터넷 사용을 줄이거나 중단하려고 할 때 안절부절 못하거나 우울하거나 우울하거나 짜증을 냅니다.
5. 원래 의도했던 것보다 더 오래 온라인 상태를 유지했습니다.
다음 중 하나 이상 :
1. 중요한 관계, 직업, 교육 또는 경력 기회를 위태롭게 하거나 잃을 위험이 있습니다.
2. 인터넷 사용 정도를 숨기기 위해 가족, 치료사 또는 다른 사람에게 거짓말을 했습니다.
3. 문제로부터 도피하거나 불쾌감(예: 무력감, 죄책감, 불안, 우울감)을 완화하는 방법으로 인터넷을 사용합니다.

참고. 영(1996) 및 수염과 늑대(2001).

네 그룹 모두의 참가자들에게 데이터의 기밀 취급과 연구 목적에 대해 알렸습니다. 테이블 2 샘플의 인구 통계 데이터에 대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작업대

테이블 2. 임상 조치. 평균값(SD)
 

테이블 2. 임상 조치. 평균값(SD)

 

ADHD 그룹(n = 25)

대조군(n = 25)

통계

IUD 그룹(n = 25)

대조군(n = 25)

통계

통계(ADHD 대 IUD)

ISS36.36 (17.45)23.00 (4.34)U = 117.0**53.28 (12.99)24.88 (6.62)U = 28.0**U = 135.0*
제어 상실9.68 (4.09)4.84 (1.41)U = 72.0**11.92 (3.49)5.28 (2.01)U = 41.0**U = 216.0, ns
금단 증상6.56 (3.66)4.24 (0.72)U = 72.0*10.12 (3.27)4.28 (0.74)U = 34.0**U = 140.50*
내성 발달7.92 (4.06)5.72 (2.51)U = 208.0, ns12.64 (3.29)6.56 (2.95)U = 64.0**U = 114.50**
사회적 관계6.32 (3.73)4.12 (0.44)U = 192.0*10.28 (3.61)4.36 (1.08)U = 50.0**U = 137.50*
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5.88 (3.66)4.08 (0.40)U = 221.50, ns8.32 (3.57)4.40 (1.44)U = 76.0**U = 164.50*
WURS-k41.68 (16.52)10.20 (9.97)U = 26.0**27.29 (17.30)13.84 (11.35)U = 131.50, nsU = 125.0, ns
CAARS(평균 T 값)       
부주의/기억 문제80.05 (11.82)46.56 (8.91)U = 2.50**61.77 (13.55)45.08 (8.36)U = 67.50**U = 69.50**
과잉 행동 / 안심69.86 (18.19)48.32 (10.68)U = 93.00**49.77 (13.81)49.38 (10.13)U = 254.50, nsU = 93.00*
충동성/정서적 불안정성77.29 (14.21)47.36 (10.96)U = 33.00**58.48 (16.55)48.13 (10.44)U = 153.00, nsU = 84.00*
자기 개념의 문제67.14 (12.11)44.40 (10.80)U = 44.00*58.68 (13.93)43.13 (9.82)U = 95.50**U = 146.00, ns
DSM-IV: 부주의80.43 (11.91)45.16 (7.48)U = 4.50**57.41 (14.69)43.79 (7.47)U = 112.00*U = 53.00**
DSM-IV: 과잉행동–충동73.29 (14.34)50.48 (8.90)U = 50.00**53.14 (14.96)51.21 (8.83)U = 255.00, nsU = 76.50**
DSM-IV: ADHD 증상80.29 (12.95)47.76 (8.51)U = 17.50**56.27 (14.51)47.42 (8.40)U = 161.00, nsU = 56.00**
ADHD 지수82.00 (10.19)47.56 (9.92)U = 13.00**61.09 (15.47)48.08 (10.95)U = 127.50*U = 60.00**
ADHD에 대한 DSM-IV 자가 평가 척도       
결합9 (36의 %)- 3 (12의 %)-  
부주의8 (38의 %)-χ2 (3) = 31.28**2 (8의 %)2 (8의 %)χ2 (3) = 4.03, nsχ2 (3) = 14.05*
과잉행동–충동1 (4의 %)1 (4의 %)2 (8의 %)2 (8의 %)
아니3 (12의 %)23 (92의 %) 15 (60의 %)15 (60의 %)  
BDI16.96 (9.91)2.76 (3.66)U = 46.50**18.54 (8.40)2.92 (3.42)U = 16.50**U = 277.0, ns
SCL-90-R/상관 T 값       
GSI0.94 (0.50) / 630.23 (0.35) / 49U = 61.0**0.88 (0.45) / 620.25 (0.36) / 50U = 74.0**U = 269.00, ns
PST42.20 (16.92) / 5914.28 (15.78) / 48U = 70.0**40.68 (19.48) / 5915.40 (16.23) / 48U = 99.50**U = 301.0, ns
PSDI1.89 (0.43) / 631.19 (0.33) / 49U = 59.50**1.82 (0.43) / 621.25 (0.31) / 52U = 63.50**U = 258.0, ns
MWT-B29.71 (3.54)29.40 (3.49)U = 287.50, ns28.65 (3.66)26.84 (4.39)U = 236.50, nsU = 236.0, ns

참고. ADHD 그룹 내에 포함된 데이터 세트는 n = 20–25 및 제어 그룹에서 n = 24–25. IUD 그룹 내에서 포함된 데이터 세트는 n = 20–25, 대조군은 24에서 25입니다. 회색 음영 영역은 각 임상군과 대조군 간의 통계적 비교를 나타냅니다. 마지막 열은 두 임상 그룹 간의 통계적 비교를 나타냅니다. ADHD: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IUD: 인터넷 사용 장애; ISS: Internetsuchtskala; WURS-k: Wender 유타 등급 척도; CAARS: Conners의 성인 ADHD 평가 척도; BDI: 벡 우울증 인벤토리; SCL-90-R: 증상-체크리스트-90 – 개정됨; GSI: 글로벌 심각도 지수; PST: 총 양성 증상; MWT-B: 객관식 어휘 지능 테스트; SD: 표준 편차; ns: 중요하지 않음.

*p <.01. **p <.001.

설문 조사

일반 설문

일반 설문지는 연구를 위해 특별히 고안되었습니다. 첫 번째 부분에는 파트너십, 교육 및 직업에 관한 인구 통계학적 정보와 관련된 질문이 포함되었습니다. 그 외에도 참가자들은 기존 질병 및 이전 치료를 보고하도록 요청 받았습니다. 두 번째 부분은 미디어 사용 행동을 평가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여기에서 참가자는 콘텐츠, 빈도 및 기간 측면에서 미디어 사용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디어 사용에 대한 동기 부여 및 욕구 측면과 결국 특정 미디어 사용에 중독되었다고 인식하는지에 대해 질문했습니다.

ADHD에 대한 DSM-IV 자가 평가 척도

DSM-IV 증상 목록은 아동기 및 청소년기의 ADHD 진단을 위한 후향적 도구입니다. 기본적으로 DSM-IV의 진단 기준을 각색한 것이다(미국 정신과 학회, 2000). 부주의(18문항), 과잉행동(6문항), 충동성(6문항)의 임상 영역으로 세분화된 1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구를 사용하면 ADHD의 혼합된, 주로 부주의하거나 주로 과잉 활동적인 하위 유형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ADHD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XNUMX가지 증상 중 XNUMX가지 이상이 XNUMX-XNUMX세 연령 범위에서 XNUMX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나타납니다. DSM-IV 기준을 직접 적용한 이 도구는 높은 기준 타당성을 보여줍니다.

Wender Utah 등급 척도(WURS-k)

WURS(Wender Utah Rating Scale)는 성인을 위한 어린 시절 ADHD의 후향적 차원 평가를 위한 인기 있는 도구이며 이러한 맥락에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Retz-Junginger et al. (2002)는 어린 시절 ADHD 증상의 경제적 소급 평가를 나타내는 25개 항목을 포함하는 WURS의 독일어 짧은 버전(WURS-k)을 개발했습니다. 참가자는 설명된 행동, 속성 또는 문제가 8세에서 10세 사이에 얼마나 강하게 발음되었는지 평가하도록 요청받은 진술 목록을 받습니다(예: 8세에서 10세 사이의 어린 시절에 나는 집중하는 데 문제가 있거나 쉽게 주의가 산만해졌습니다.). 여기에서 응답은 [5]에서 [0] 강하게 발음하는 범위의 4점 리커트 척도로 주어질 수 있습니다. 일반 점수의 경우 컷오프 30점은 어린 시절 ADHD가 이미 존재했음을 나타냅니다. 짧은 버전은 요인 구조, 신뢰도(분할 반: r12 = .85) 및 내적 일관성(α = 0.91)(Retz-Junginger 외, 2003).

Conners의 성인 ADHD 평가 척도(CAARS)

Conners가 1999년에 개발한 [참조 메이시 (2003) 자세한 설명을 위해], CAARS는 성인기에 ADHD 증상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가장 검증된 도구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여기에 제시된 연구에서는 66문항의 자기보고 롱버전을 적용하였다. 응답자는 주어진 진술(예: 나는 쉽게 좌절한다) 개인 경험에 적용됩니다. 답은 [4] 전혀 그렇지 않다/전혀 없다, [0] 거의 없다/가끔, [1] 강하다/자주, [2] 매우 강하다/매우 자주의 3점 리커트 척도로 주어진다. 자기 보고의 긴 버전은 ADHD에 대한 DSM-IV 기준에 기초한 부주의, 과잉 행동/충동 및 전반적인 ADHD 증상에 대해 XNUMX개의 하위 척도로 나눌 수 있습니다. Christiansen, Hirsch, Abdel-Hamid 및 Kis의 독일 적응 (2014)는 우수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입증했습니다.

IUD 기준

IUD는 비교적 새로운 현상이고 충동 조절 장애 또는 행동 중독과 같은 아직 계류 중인 현상학적 분류로 인해 아직 ICD-10 및/또는 DSM-IV 내에서 임상적 실체로 완전히 인식되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질 관련 장애에 대한 기준이 인터넷 중독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 연구와 일치하는 한 가지 접근 방식은 Young(1996) 그는 인터넷 중독을 진단하기 위해 최소 XNUMX개가 있어야 하는 XNUMX개의 기준을 개발했습니다. 수염과 늑대 (2001)는 여덟 가지 기준의 사용을 수정했습니다. 그들의 정의에 따르면, XNUMX차 중독 행동에 초점을 맞춘 처음 XNUMX개 항목의 존재는 인터넷 중독을 진단하는 데 의무적입니다. 그리고 중독성 행동으로 인한 일상 기능 장애를 설명하는 마지막 세 가지 기준 중 적어도 하나가 있어야 합니다. 연구 내에서 Beard와 Wolf가 제안한 더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었습니다(표 1).

인터넷수츠칼라(ISS)

독일어권 국가 내에서 ISS[무료 번역: 인터넷 중독 척도, Griffiths의 인터넷 중독 척도(IAS)와 혼동하지 말 것(1998)] 한과 예루살렘 (2003)는 IUD를 평가하는 상당히 검증된 도구입니다. XNUMX개 항목은 IUD의 다섯 가지 측면인 통제력 상실(예: 원래 의도한 대로 인터넷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냅니다.), 금단 증상(예: 온라인에 접속할 수 없을 때 나는 짜증과 불만을 느낀다), 내성 발달(예: 나의 일상은 점점 더 인터넷에 지배당하고 있다), 작업 성과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예: 학교나 직장에서 나의 성과는 나의 인터넷 사용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사회적 관계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예: 인터넷을 발견한 이후로 다른 사람들과의 활동이 줄었습니다.). 모든 하위 척도는 4개의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응답은 [1] 해당되지 않음, [2] 거의 적용되지 않음, [3] 오히려 적용됨, [4] 정확히 적용됨 범위의 59점 리커트 척도로 이루어집니다. IUD를 식별하기 위한 컷오프 점수는 >3(평균 응답 50)로 설정되었지만 59~2점(평균 응답 5, 0.93)은 오용 및 IUD 발병 위험을 나타냅니다. ISS는 전체 점수에 대해 α = 0.80, XNUMX개 하위 척도에 대해 α = XNUMX의 내적 일관성과 충동성과 같은 외부 기준과의 타당성 측면에서 만족스러운 심리적 특성을 보여주었습니다. 한과 예루살렘, 2010).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DSM 기반 BDI(Beck, Ward, Mendelson, Mock, & Erbaugh, 1961 년)는 임상 연구와 실제 모두에서 우울증을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도구 중 하나입니다. 그것의 우수한 심리 측정 속성은 우울증 심각도의 신뢰할 수 있고 유효한 평가를 허용합니다. 독일 적응 (Hautzinger, Keller, & Kühner, 2006년)는 총점을 계산할 수 있는 21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응답은 4점 리커트 척도로 이루어집니다. 0~13의 값은 우울하지 않음, 14~19의 값은 가벼운 우울, 20~28의 값은 중간 정도의 우울, 28 이상의 값은 심각한 우울을 나타냅니다. BDI의 독일 적응은 높은 신뢰성과 기준 타당성을 보여주었다.Kühner, Bürger, Keller, & Hautzinger, 2007).

증상-체크리스트-90 – 개정됨(SCL-90-R)

SCL-90-R(Derogatis, 1977)은 지난 7일 이내에 신체 및 심리적 증상에 의한 주관적 손상을 측정합니다. 설문지는 총 9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83문항은 신체화, 강박, 대인민감, 우울, 불안, 적개심, 공포불안, 편집증, 정신증 등 7개 증상 영역을 다루고 있다. 총 5개의 항목을 합하면 여러 글로벌 지수가 됩니다(아래 참조). 응답자들은 지난 XNUMX일 동안 뚜렷한 증상으로 얼마나 심하게 고통을 받았는지 표시하도록 요청받습니다. 응답은 XNUMX점 리커트 척도로 이루어집니다. 이 목록을 통해 글로벌 심각도 지수, 총 긍정적 증상 및 긍정적 증상 고통 지수의 세 가지 글로벌 지수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Franke의 독일 각색 (2016)는 우수한 수렴 타당성뿐만 아니라 글로벌 규모 및 모든 하위 척도에 대해 높은 내부 일관성을 보여주었습니다(슈미츠 등, 2000).

객관식 어휘 지능 검사(MWT-B)

Lehrl, Triebig 및 Fischer의 MWT-B(1995)는 20세에서 64세까지의 성인을 대상으로 결정적 언어 지능 측면에서 일반 지능 수준을 평가하는 인벤토리입니다. 응답자가 실제로 존재하는 37개 단어 행에서 유일한 독일어 단어를 찾아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5개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 완료하는 데 보통 XNUMX분밖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인 도구입니다. 원시 점수(정답 수)는 사람의 나이를 고려하여 IQ 값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

데이터가 파라메트릭 분석 방법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혼합 접근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먼저 분포의 정규성을 조사하기 위해 유의성 테스트(Kolmogorov–Smirnov 및 Shapiro–Wilk 테스트)를 사용했습니다. 또한 분포의 왜곡 및 첨도 계산을 포함하는 그래픽(히스토그램, Q-Q 플롯 및 P-P 플롯) 및 수치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정규성을 분석했습니다. 임상 측정의 분석을 위해 수단의 단순 비교를 선택했습니다. 파라메트릭 접근 방식이 적합한 경우 독립적인 샘플 t-테스트가 수행되었습니다. 비모수적 접근법의 경우 Mann–Whitney U 테스트가 수행되었습니다. 누락된 데이터 세트는 표의 각주에서 강조 표시됩니다. 범주형 변수의 경우 χ2 테스트가 계산되었습니다. 샘플 크기가 작고 샘플 내 다중 비교로 인해 모든 분석에 대해 유의 수준이 0.01(양측)로 설정되었습니다. 따라서 제시된 통계는 보수적인 분석 접근법을 나타냅니다.

윤리학

연구 절차는 헬싱키 선언과 적용 가능한 모든 지역 및 국제 윤리 기준의 요구 사항에 따라 수행되었습니다. 기관윤리위원회[하노버 의과대학]는 연구를 승인했습니다. 모든 피험자에게 연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으며 모두 정보에 입각한 동의를 제공했으며 참여에 대한 보상을 받지 않았습니다.

결과

임상 조치

모든 ADHD 환자는 경험이 풍부한 임상 전문가가 수행한 CAADID를 기반으로 진단되었습니다. 설문지의 적용은 추가 보충 사항이었습니다. 주로 구조화된 임상 인터뷰에 기반한 진단이 반드시 모든 개인이 설문지에서 뚜렷한 컷오프에 도달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표 3).

작업대

테이블 3. 샘플 인구통계
 

테이블 3. 샘플 인구통계

 

ADHD 그룹(n = 25)

대조군(n = 25)

통계

IUD 그룹(n = 25)

대조군(n = 25)

통계

통계(ADHD 대 IUD)

성별(남성/여성)14/1114/11 19/619/6  
연령 [평균(년)SD)]38.8 (10.22)38.16 (10.84)U = 301.0, ns29.36 (10.76)29.48 (9.96)U = 302.0, nsU = 158.5, ns
IQ [평균 (SD)]109.92 (14.43)108.36 (11.22)U = 289.50, ns106.61 (13.11)101.72 (10.10)U = 236.50, nsU = 236.0, ns
학교 교육 (%)       
학교 학생--χ2 (2) = 2.03, ns1 (4의 %)1 (4의 %)χ2 (3) = 0.36, nsχ2 (3) = 5.92, ns
중등 현대 학교8 (32의 %)5 (20의 %)2 (8의 %)2 (8의 %)
중학교10 (40의 %)15 (60의 %)10 (40의 %)12 (48의 %)
고등학교/문법 학교7 (28의 %)5 (20의 %)12 (48 %)10 (40의 %)
전문적인 교육 (%)       
없음4 (16의 %)2 (8의 %)χ2 (5) = 3.47, ns9 (36의 %)-χ2 (6) = 13.61, nsχ2 (6) = 12.92, ns
교육(견습)--3 (12의 %)4 (16의 %)
수습 완료14 (56의 %)16 (64의 %)6 (24의 %)11 (44의 %)
기술 대학4 (16의 %)2 (8의 %)1 (4의 %)2 (8의 %)
학사 학위2 (8의 %)4 (16의 %)5 (20의 %)5 (20의 %)
기타---3 (12의 %)
직업상태/일(%)       
예, 배웠습니다9 (36의 %)16 (64의 %)χ2 (5) = 5.00, ns9 (36의 %)15 (60의 %)χ2 (6) = 12.41, nsχ2 (7) = 10.29, ns
예, 기타6 (24의 %)5 (20의 %)2 (8의 %)3 (12의 %)
예, 보호됩니다1 (4의 %)---
아니요, 가족 휴식2 (8의 %)1 (4의 %)-2 (8의 %)
아니, 직업 없이5 (20의 %)2 (8의 %)6 (24의 %)1 (4의 %)
아니요, 영구 병가--4 (16의 %)-
아니, 펜션에서--1 (4의 %)-
아니오, 다른2 (8의 %)1 (4의 %)3 (12의 %)4 (16의 %)
협력 관계 (%)       
하나의6 (24의 %)4 (16의 %)χ2 (3) = 3.09, ns11 (44의 %)9 (36의 %)χ2 (4) = 8.38, nsχ2 (4) = 12.77, ns
파트너십7 (28의 %)6 (24의 %)12 (48의 %)10 (40의 %)
결혼한8 (32의 %)14 (56의 %)-6 (24의 %)
 별거 / 이혼3 (12의 %)1 (4의 %)1 (4의 %)-
과부가 된--1 (4의 %)-
기존 질병 [n (%)]       
우울증14 (56의 %)0%-12 (48의 %)0%-χ2 (1) = 0.32, ns
불안 장애7 (28의 %)0%-6 (24의 %)0%-χ2 (1) = 0.10, ns
OCD1 (4의 %)0%-1 (4의 %)0%-χ2 (1) = 0, ns
섭식 장애4 (16의 %)0%-2 (8의 %)0%-χ2 (1) = 0.76, ns
적응 장애1 (4의 %)0%--0%-χ2 (1) = 1.02, ns
신체화 장애1 (4의 %)0%--0%-χ2 (1) = 1.02, ns
심인성 장애5 (20 %)0%-3 (12의 %)0%-χ2 (1) = 0.60, ns
PTSD2 (8의 %)0%--0%--
해리 성 정체성 장애-0%-2 (8의 %)0%--
경계 성격1 (4의 %)0%--0%- 
기타 인격 장애1 (4의 %)0%-2 (8의 %)0%-χ2 (1) = 0.36, ns
중독성 장애3 (12의 %)0%-1 (4의 %)0%-χ2 (1) = 1.09, ns
정신 분열증1 (4의 %)0%-1 (4의 %)0%-χ2 (1) = 0, ns
ADHD10 (40의 %)0%-0 (0의 %)0%-χ2 (1) = 12.50*
기타0 (0의 %)0% 4 (16의 %)0% χ2 (1) = 4.35

참고. 회색 음영 영역은 각 임상 그룹과 대조군 간의 통계적 비교를 나타냅니다. 마지막 열은 두 임상 그룹 간의 통계적 비교를 나타냅니다. SD: 표준 편차; IUD: 인터넷 사용 장애; ADHD: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OCD: 강박 장애; PTSD: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데이터 세트 XNUMX개 누락, 데이터 세트 XNUMX개 누락, 데이터 세트 XNUMX개 누락.

*p <.01. **p <.001.

ADHD에 대한 DSM-IV 자가 평가 척도

ADHD 환자 18명 중 약 25명(72%)이 이 자가 평가 척도의 한계점에 도달했습니다. 이 그룹은 주로 결합된 하위 유형(36%)에 대한 기준을 충족했으며 부주의한 하위 유형(32%)이 바로 뒤를 이었습니다. 한 사례에서는 과잉 행동-충동 하위 유형이 발견되었고(4%) 12명의 참가자가 컷오프에 도달하지 못했습니다(16%). DSM 기준 정보에 관한 XNUMX개의 데이터 세트가 누락되었습니다(XNUMX%).

IUD 환자 7명 중 약 25명(28%)이 DSM 기준에서 ADHD 양성 반응을 보였습니다. 여기에서 결합된 하위 유형이 가장 널리 퍼졌습니다(12%). 부주의 하위 유형(8%)과 과잉 행동-충동 하위 유형(8%)에 대해 두 가지 사례가 양성으로 테스트되었습니다. 15건(60%)에서 ADHD에 대한 심리 측정 기준에 도달하지 못했고 12개의 데이터 세트(XNUMX%)가 누락되었습니다. DSM 기준과 관련하여 IUD 그룹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두 임상 그룹은 ADHD 그룹에 유리한 결합 및 부주의 하위 유형의 분포와 관련하여 서로 크게 달랐습니다. 과잉 행동-충동 하위 유형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WURS-k

WURS-k의 결과는 평균 점수(M = 41.68, SD = 16.52). 개인 수준에서 18명(72%)의 참가자는 컷오프 30 이상의 값을 보였습니다. 전체적으로 ADHD 그룹은 대조군과 크게 달랐습니다(U = 26.00, p < .001). 평균 점수를 고려할 때 IUD 그룹은 WURS-k가 제안된 컷오프에 가깝다는 점에서 높은 값을 보여 어린 시절 ADHD 증상이 상승했음을 나타냅니다.M = 27.29, SD = 17.30). 개인 수준에서 32건의 IUD 사례(XNUMX%)가 컷오프와 같거나 그 이상의 값에 도달했습니다. 두 임상 그룹 모두 어린 시절의 ADHD 증상 자체 보고와 관련하여 서로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카아르

CAARS는 원시 점수를 기준으로 컷오프를 제공하지 않고 성별에 따른 기준만 있기 때문에 t-Christiansen 등의 매뉴얼 점수. (2014)는 현재 ADHD 증상의 차원을 평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여기, t- 65점 이상은 임상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그만큼 t-60에서 65 사이의 점수는 정상 수준보다 높고 임상 관련 차원의 경계선으로 표시되는 상승된 증상을 의미합니다. ADHD 그룹은 CAARS의 모든 차원에서 매우 높고 임상적으로 관련된 점수를 보였고 대조군과 크게 달랐습니다. 개인 수준에서, ADHD 그룹의 19명(76%)은 DSM-IV에서 대부분의 사례에서 진행 중인 ADHD를 암시하는 임상 관련 수준을 보였습니다. IUD 그룹은 CAARS에서 약간에서 중간 정도의 높은 점수를 보였습니다. 하위 척도인 과잉 행동, 충동성, DSM-IV 과잉 행동-충동 및 DSM-IV ADHD 증상을 제외하고는 여러 차원에서 대조군과 크게 달랐습니다. 개인 수준에서 20건(XNUMX%)이 CAARS DSM-IV ADHD 측정 기준을 충족했습니다. 두 임상 그룹 간의 직접 비교에서 ADHD 그룹은 IUD 그룹의 자아 개념 측정 문제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CAARS 차원에서 크게 달랐습니다.

ISS

전반적으로, ADHD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상당히 높은 총 ISS 점수를 보였습니다[(M = 36.36, SD = 17.45) 대 (M = 23.00, SD = 4.34)], 평균은 문제가 있거나 병적인 인터넷 사용에 대한 컷오프에 도달하지 않았습니다. 하위 수준에서 ADHD 그룹은 통제력 상실에 대해 유의하게 더 높은 수준을 보였습니다(M = 9.68, SD = 4.09), 금단 증상(M = 6.56, SD = 3.66), 사회적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M = 6.32, SD = 3.73) 대조군과 비교. 개인 수준에서 20명의 환자(12%)가 인터넷 중독으로 발전할 위험에 대한 컷오프 이상의 점수를 보였습니다. 실제로 16명의 환자(10%)가 중독 기준치 이상을 보였다. IUD 그룹 내에서 ISS는 40명의 환자(XNUMX%)가 문제가 있는 사용을, XNUMX명의 환자(XNUMX%)가 병적인 인터넷 사용을 나타냈습니다. 하위 수준에서 IUD 그룹은 훨씬 더 높은 통제력 상실을 보였습니다(M = 11.92, SD = 3.49), 금단 증상(M = 10.12, SD = 3.27), 내성 발달(M = 12.64, SD = 3.29), 사회적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M = 10.28, SD = 3.61), 업무 성과(M = 8.32, SD = 4.40) 대조군과 비교했습니다. 직접적인 비교에서, IUD 그룹은 다음을 제외한 ISS의 모든 차원에서 ADHD 그룹을 크게 초과했습니다. 제어 상실 하위 척도.

BDI 및 SCL-90-R

전반적으로 ADHD 환자는 경미한 우울증을 나타내는 수치를 보였다(M = 16.96, SD = 9.91). 게다가, 그것들은 그들의 컨트롤과 상당히 달랐습니다. ADHD 환자 중 13명(52%)이 임상적으로 우울한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IUD 그룹은 약간 더 심한 우울증 증상을 보였고 BDI 측면에서는 여전히 경미했습니다.M = 18.54, SD = 8.40). 여기에서 15명의 환자(60%)가 임상적으로 우울한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이 그룹은 대조군과 상당히 달랐습니다. 두 임상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SCL-90-R과 관련하여 두 임상 그룹 모두 모든 지표에서 대조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습니다. 직접적인 비교에서 두 임상 그룹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공식적으로 임상 관련성이 높은 점수를 보였습니다. 전반적으로, 두 임상 그룹 모두 관련된 부담 수준을 나타내는 상승된 증상 부하를 보였습니다.

사회 인구 학적 변수

간단히 말해서, 분석 결과 대부분의 경우 데이터의 정규 분포를 가정할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표 참조). 4). 적은 수의 변수만이 정규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비모수적 접근 방식(예: Mann-Whitney U 테스트)도 이러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전체 데이터 세트에 대해 비모수적 접근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작업대

테이블 4. 미디어 사용. 평균 (SD)
 

테이블 4. 미디어 사용. 평균 (SD)

 

ADHD 그룹(n = 25)

대조군(n = 25)

통계

IUD 그룹(n = 25)

대조군(n = 25)

통계

통계(ADHD 대 IUD)

비디오 게임 [n (%)]15 (60)9 (36)χ2 (1) = 2.89, ns21 (87.5)a10 (40)χ2 (1) = 11.89**χ2 (1) = 4.75, ns
비디오 게임 사용 기간(년)9.3 (5.95)13.3 (6.98)U = 47.0, ns13.15 (6.26)12.9 (6.15)U = 93.00, nsU = 99.00, ns
비디오 게임 사용(일/주)4.61 (2.34)2.31 (2.05)U = 55.0, ns5.90 (2.02)2.75 (2.53)U = 240.00, nsU = 88.50*
비디오 게임 사용(시간/일)3.69 (3.12)1.81 (1.31)U = 32.50, ns6.47 (5.41)1.94 (0.95)U = 18.00**U = 81.50, ns
비디오 게임을 하게 된 동기 [n (%)]       
관심7 (46.7)4 (44.4) 10 (47.6)5 (50)  
엔터테인먼트10 (66.7)7 (77.8) 16 (76.2)9 (90)  
지루함5 (33.3)3 (33.3) 14 (66.7)4 (40)  
휴식7 (46.7)1 (11.1) 5 (23.8)1 (90)  
자극1 (6.7)0 (0) 1 (4.8)0 (0)  
고독3 (20)0 (0) 3 (14.3)0 (0)  
사회화1 (6.7)0 (0) 5 (23.8)0 (0)  
자기 인식 중독 [n (%)]11 (73.3)0 (0)χ2 (1) = 12.76**12 (57.1)1 (10)χ2 (1) = 7.60*χ2 (1) = 0.52, ns
인터넷 [n (%)]24 (96)21 (84)χ2 (1) = 2.00, ns23 (95.8)23 (92)χ2 (1) = 0.31, nsχ2 (1) = 0.001, ns
인터넷 사용 이후(년)5.08 (2.86)5.86 (2.20)U = 208.50, ns7.43 (3.67)5.65 (2.60)U = 203.50, nsU = 181.50, ns
인터넷 사용(일/주)4.96 (2.20)3.48 (2.52)U = 168.00, ns6.96 (0.21)3.96 (2.57)U = 143.00**U = 121.00**
인터넷 사용(시간/일)2.50 (2.43)1.64 (1.97)U = 134.50, ns6.47 (4.07)a2.20 (2.52)U = 66.00**유 = 65.00 **
인터넷 이용 동기 [n(%)]       
관심22 (91.7)21 (100) 16 (69.6)22 (95.7)  
엔터테인먼트10 (41.7)4 (19) 14 (60.9)8 (34.8)  
지루함5 (20.8)2 (9.5) 14 (60.9)4 (17.4)  
휴식2 (8.3)0 (0) 4 (17.4)0 (0)  
자극6 (25)7 (33.3) 5 (21.7)6 (26.1)  
고독1 (4.2)0 (0) 6 (26.1)0 (0)  
사회화10 (41.7)2 (9.5) 11 (47.8)2 (8.7)  
자기 인식 중독 [n (%)]6 (25)2 (9.5)χ2 (1) = 2.02, ns17 (73.9)3 (13)χ2 (1) = 20.42**χ2 (1) = 14.03**

참고. 회색 음영 영역은 각 임상 그룹과 대조군 간의 통계적 비교를 나타냅니다. 마지막 열은 두 임상 그룹 간의 통계적 비교를 나타냅니다. SD: 표준 편차; IUD: 인터넷 사용 장애; ADHD: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ns: 중요하지 않음.

a하나의 데이터 세트가 누락되고 XNUMX개의 데이터 세트가 누락되었습니다.

*p <.01. **p <.001.

ADHD 그룹 대 대조군

분석 결과 ADHD 그룹과 통제 그룹 간의 성별, 연령, 교육, 직업 상태 및 파트너십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포함 기준에 따라 ADHD 그룹은 보고된 기존 질병 측면에서 대조군과 달랐습니다. 여기에서 우울증과 불안 장애가 가장 빈번한 상태였습니다. 덜하지만 ADHD 그룹 내에서 섭식 및 정신신체 장애가 보고되었습니다.

IUD 그룹 대 대조군

분석 결과 IUD와 대조군 사이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관련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UD 그룹은 더 많은 기존 질병을 대조군으로 보고했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우울증과 불안 장애가 가장 빈번한 상태였습니다.

ADHD 대 IUD

대부분의 사회인구학적 변수에서 두 임상 그룹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예상대로 ADHD 그룹은 기존 ADHD를 훨씬 더 자주 보고했습니다.

미디어 사용

ADHD 그룹 대 대조군

ADHD 그룹과 대조군 사이의 인터넷 사용 변수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비디오 게임의 변수도 마찬가지입니다. 비디오 게임을 사용하는 동기와 관련하여 한 가지 주목할만한 패턴이 있습니다. ADHD 환자는 자극, 외로움 극복 및/또는 사회화 요구를 위해 비디오 게임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대조군에서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ADHD 환자가 비디오 게임을 사용하는 또 다른 주요 동기는 휴식이었습니다. ADHD 집단 내 개인이 인터넷을 사용하는 동기는 주로 관심 때문이었다. ADHD 그룹은 대조군에 비해 자신이 비디오 게임에 중독된 것으로 인식하는 빈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습니다[11 vs. 0, χ2 (1) = 12.76, p < .001].

IUD 대 대조군

IUD 그룹은 대조군에 비해 비디오 게임을 훨씬 더 자주 사용했습니다[21 vs. 10, χ2 (1) = 11.89, p < .001]. 또한 하루에 비디오 게임을 하는 시간과 관련하여 IUD 그룹에 유리한 상당한 차이가 있었습니다[(M = 6.47, SD = 5.41) 대 (M = 1.94, SD = 0.95), U = 18.00, p < .001]. 인터넷 사용과 관련하여 IUD 그룹은 대조군에 비해 하루에 훨씬 더 많은 시간을 인터넷을 사용했습니다[(M = 6.47, SD = 4.07) 대 (M = 2.20, SD = 2.52), U = 66.0, p < .001]. ADHD 환자에게서 발견되는 비디오 게임에 대한 독특한 동기 패턴은 IUD 환자에서도 발견되었습니다. IUD를 가진 사람들이 인터넷을 사용하는 동기는 주로 관심 때문이었습니다. IUD 환자는 자신이 비디오 게임에 중독된 것으로 인식한다고 보고했습니다[12 vs. 1, χ2 (1) = 7.60, p = .006] 대조군보다 훨씬 더 자주.

ADHD 대 IUD

IUD 그룹의 참가자들은 비디오 게임[(M = 5.90, SD = 2.02) 대 (M = 4.61, SD = 2.34), U = 88.50, p < .05], 하루에 훨씬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지는 않았지만 [(M = 6.47, SD = 5.41) 대 (M = 3.69, SD = 3.12), U = 81.50, p > .05]. IUD 그룹 내에서 비디오 게임을 사용하려는 동기는 지루함을 피하는 경향이 더 높다는 점에서 ADHD 그룹과 달랐습니다. 또한 사회적 요구는 IUD 그룹 내에서 더 두드러진 동기였습니다. 휴식을 위한 비디오 게임의 사용은 ADHD 그룹 내에서 더 두드러졌습니다. 두 임상 그룹을 직접 비교한 ​​결과 자기 인식 중독 비디오 게임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IUD 그룹은 하루에 훨씬 더 많은 시간 동안 인터넷을 사용했습니다 [(M = 6.47, SD = 4.07) 대 (M = 2.5, SD = 2.43), U = 65.0, p < .001]. 인터넷 사용 동기는 IUD 그룹에 유리한 지루함, 외로움, 오락 및 휴식 측면에서 달랐습니다.

합병증

두 장애 사이의 수렴선과 연관성을 추가로 탐색하고 설명하기 위해 ADHD 및 IUD 측정에서 각각의 컷오프에 도달한 환자를 별도로 검사했습니다. 여기에서 ISS에서 50 이상의 값과 CAARS DSM-IV ADHD 측정에서 65 이상의 T 값을 나타낸 환자가 이 하위 그룹에 포함되었습니다. 이 절차를 통해 두 그룹에서 동일한 비율로 41.6명의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이 그룹은 평균 연령이 XNUMX세인 남성 XNUMX명과 여성 XNUMX명으로 구성되었습니다(SD = 10.23). 약 75%가 고용되어 있었고 62.5%는 파트너가 있었습니다. WURS-k에 따르면 87.5%가 아동기 ADHD 기준을 충족했습니다(주로 복합 하위 유형). 결과적으로 이 그룹은 높은 WURS-k 값(M = 49.88, SD = 16.19) 또한 아동기의 기존 ADHD를 나타냅니다. 미디어 사용과 관련하여 이 그룹의 62.5%는 평균 4.40년 동안 비디오 게임을 한다고 보고했습니다(SD = 2.07) 주 6일(SD = 1.73) 평균 4.60시간(SD = 4.22) 주로 오락(60%) 및 휴식(60%)을 위한 것입니다. 이 그룹의 환자들은 평균 7.75년부터 인터넷을 사용했습니다(SD = 3.77). 또한 하루 평균 6시간 정도 인터넷을 사용한다고 보고했다(SD = 5.90) ​​주로 엔터테인먼트(62.5%), 흥미(62.5%) 및 사회화(50%)에 대한 것입니다. 전반적으로 그룹은 ISS에서 중독에 대한 컷오프를 초과했습니다(M = 61.50, SD = 9.53). CAARS DSM-IV: ADHD 측정의 값은 임상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M = 81.75, SD = 7.72). 마지막으로, 이 하위 그룹은 약간 우울하다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M = 17.13, SD = 7.10).

상관 관계

전반적으로 사용된 도구는 높은 내부 일관성을 보였고 기본 구성을 만족스러운 방식으로 캡처했습니다(표 5). ADHD 그룹 내에서 WURS-k와 인터넷 사용 시간은 강력하고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r = .630, p < .01). 흥미롭게도, 이 연관성은 IUD 샘플 내에서만 약했고 의미를 나타내지 못했습니다(r = .264, ns). 몇 시간 동안의 비디오 게임 사용과 ADHD 샘플 내의 WURS-k 사이의 관계는 높았지만 유의미하지는 않았습니다(r = .564, p = .056). 흥미롭게도 IUD 샘플에서는 그렇지 않았습니다(r = .297, ns). ADHD 샘플 내에서 ISS와 몇 시간 동안의 인터넷 사용 사이에는 보통이지만 중요하지 않은 상관관계가 있었습니다(r = .472, ns), IUD 샘플(r = .171, ns). IUD 샘플 내에서 CAARS 과잉 행동 척도는 몇 시간 동안의 인터넷 사용과 중간 정도의 중요하지 않은 정도와 관련이 있었습니다(r = .453, ns). ADHD와 IUD로 진단받은 환자 그룹 내에서 WURS-k와 ISS 사이에 강력하고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습니다.r = .884, p < .01) (표에 표시되지 않음 5).

작업대

테이블 5. ADHD(대각선 아래) 및 IUD 샘플(대각선 위)에 대한 대각선의 척도 상관관계 및 내부 일관성(왼쪽: ADHD 및 오른쪽 IUD)
 

테이블 5. ADHD(대각선 아래) 및 IUD 샘플(대각선 위)에 대한 대각선의 척도 상관관계 및 내부 일관성(왼쪽: ADHD 및 오른쪽 IUD)

규모

1

2

3

4

5

6

7

8

9

1. WURS-k0.9190.907- 0.0220.6270.2230.715*0.2080.611*0.2640.297
2. 국제우주정거장0.3940.9770.9180.2320.2180.1590.1690.2360.171- 0.319
3. CAARS DSM-IV: ADHD0.5090.3640.9320.9290.771*0.830*- 0.2810.4420.315- 0.147
4. CAARS DSM-IV: 부주의0.3890.3960.891*0.8880.8660.285- 0.3150.159- 0.017- 0.200
5. CAARS DSM-IV: 과잉 행동0.5230.2710.919*0.640*0.8380.898- 0.1470.5250.453- 0.077
6. BDI- 0.0110.3570.1760.1430.1740.8810.8200.2940.216- 0.050
7. SCL-90(GSI)- 0.2060.1040.2760.3040.2030.580*0.9620.9450.298- 0.042
8. 인터넷 사용(시간)0.630*0.4720.4180.3850.3920.025- 0.223--- 0.078
9. 비디오 게임 사용(시간)0.5640.4180.3130.2310.3420.209- 0.1580.818*--
                   

참고. Pearson의 상관관계, 포함된 데이터 세트는 12~25(ADHD 그룹) 및 17~24(IUD 그룹)에 이릅니다. WURS-k: Wender 유타 등급 척도; ISS: Internetsuchtskala; IUD: 인터넷 사용 장애; ADHD: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CAARS: Conners의 성인 ADHD 평가 척도; BDI: 벡 우울증 인벤토리; SCL-90-R: 증상-체크리스트-90; GSI: 글로벌 심각도 지수.

*p < .01; p 값은 양면입니다.

토론

이전 섹션다음 섹션

IUD 그룹

예상대로 IUD 진단을 받은 환자는 인터넷 중독에 대한 모든 척도에서 대조군과 크게 달랐습니다. 우리는 성인 ADHD의 일부 척도와 관련하여 유사한 패턴을 발견했습니다.

IUD 내 ADHD 진단

IUD로 진단받은 환자 내에서 ADHD의 상당한 유병률을 발견했습니다. IUD 환자 그룹 내 아동기 ADHD의 유병률이 높다는 것은 ADHD가 IUD의 시작 및 발달에 대한 실질적인 위험 요소를 나타낼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 개념에 대한 지원은 예를 들어 니코틴 및 알코올 의존 영역에서 비롯됩니다. 여기서, Ohlmeier et al. (2007)는 알코올 의존 환자 그룹의 거의 XNUMX/XNUMX이 어린 시절 ADHD로 진단될 수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인터넷 중독 분야의 추가 지원은 달부닥과 에브렌(2014). 대학생에 대한 조사에서 그들은 WURS-25 측정과 IAS 사이에 강력하고 중요한 상관관계를 발견했습니다. 이 연구에서 IUD 환자의 20%가 성인 ADHD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숫자를 통해 우리는 두 장애 사이의 강한 연관성에 대한 우리의 개념을 뒷받침합니다. 특히 성인 임상 맥락에서 이 주제에 관한 문헌의 규모가 아직 작기 때문에 Bernardi와 Pallanti(2009) 이러한 결과를 비교할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여기에서 그들은 Young의 관점에서 인터넷 중독으로 식별된 성인 외래 환자의 20%(1998) IAS, 성인 ADHD 기준을 충족함. 그들의 발견이 우리의 결과와 일치했기 때문에 우리는 데이터의 유효성을 확신합니다. 추가 데이터는 Ko, Yen, Chen, Chen 및 Yen(2008) 인터넷 중독이 있는 성인 대학생 샘플에서 정신과 동반이환을 조사했습니다. 여기에서 학생들은 정신과 진단 인터뷰를 진행했고 32.2%가 ADHD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비임상적 맥락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결과는 여전히 ADHD와 IUD가 상당한 연관성을 보인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IUD – 동기 측면 및 상관관계

특정 온라인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동기와 관련하여 IUD 진단을 받은 환자 그룹에서 흥미로운 패턴을 발견했습니다. 보고된 바와 같이, 비디오 게임은 IUD 그룹 내에서 자극하고, 외로움을 극복하고,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기 위해 활용되었지만, 그들의 컨트롤 중 어느 것도 그러한 동기 부여를 보고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권태감은 IUD 진단을 받은 환자의 주요 동기였습니다. 대학생 샘플에서 Skues, Williams, Oldmeadow 및 Wise(2016) PIU의 예측 변수로 권태 성향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외로움은 지루함 및 PIU와 관련이 있었지만 모델에서 중요한 예측 인자는 아니었습니다. 그들은 지루함을 경험하기 쉬운 대학생들이 보상으로 자극과 만족을 추구하기 위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우리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우리는 지루함과 오락이 비디오 게임과 일반적인 인터넷 모두에서 온라인 활동에 참여하는 주요 동기라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이 견해를 공유합니다. 선형 관계와 관련하여 우리는 임상 측정과 미디어 사용 시간과 같은 외부 측면 사이에 약하거나 심지어 부정적인 관계만 발견했습니다. 여기서 미디어 사용 시간은 IUD를 진단하는 유효한 기준으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시해야 합니다. Young 등의 임상 기준(1996) 및 수염과 늑대(2001)는 삶의 사적 및 직업적 측면에서 IUD의 부작용을 포함하는 금본위제입니다. 이 측면은 한과 예루살렘에 대한 조사에 의해 강조된다(2010)에 대해서만 상관관계를 보고한 사람 r = ISS와 일주일 내 평균 미디어 사용 시간 사이의 .40. 그러나 이 조사는 비임상 샘플에서 수행되었음을 명시해야 합니다.

ADHD 그룹

인터넷 중독 증상과 관련하여 ADHD 환자는 대부분의 측정에서 대조군과 크게 달랐습니다.

ADHD 내 IUD 진단

ISS의 분석에 따르면 ADHD로 진단받은 환자의 20%가 문제적이고 병적인 인터넷 사용에 대한 컷오프 이상의 값을 나타냈습니다. 우리가 아는 한, 이것은 성인 및 임상 ADHD 인구 내에서 미디어 사용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첫 번째 연구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직접 비교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Han et al. (2009)는 ADHD 진단을 받은 아동 샘플을 조사한 결과 45%가 IAS 수치가 높아진 측면에서 인터넷에 중독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의 샘플은 나이와 적용된 도구 측면에서 다르지만 IUD가 어린이뿐만 아니라 ADHD가 있는 성인에게도 문제라는 우리의 견해를 여전히 지지합니다. 유병률에 관한 더 많은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더 큰 임상 성인 인구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합니다. 문제가 있거나 병적인 미디어 사용을 정의하기 위한 ISS 컷오프는 공개된 규범으로 인해 상당히 높게 설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ADHD 진단을 받은 성인의 IUD 유병률이 더 높다고 가정하는 것이 타당해 보입니다.

ADHD – 동기 측면 및 상관관계

ADHD 진단을 받은 환자의 미디어 사용 동기 부여 측면과 관련하여 주목할만한 패턴을 발견했습니다. ADHD 환자들이 비디오 게임을 하는 주요 동기 중 하나는 이완이었습니다. 물론, 이것은 그 자체로 병리학적이지는 않지만, 이 동기가 다른 모든 그룹과 비교하여 ADHD로 진단된 환자들에게 주로 나타났기 때문에 여전히 흥미롭습니다. 생물학적 관점에서 ADHD가 낮은 도파민 기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프리델 외, 2007; 금, Blum, Oscar-Berman 및 Braverman, 2014; Volkow et al., 2009). 비디오 게임을 하는 것이 선조체 도파민 분비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켑 등, 1998) 게임은 휴식의 측면에서 자기 치료의 한 방법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자가 약물 치료 가설은 또한 ADHD가 있는 개인의 물질 사용 장애 유병률 증가를 설명하기 위해 제안되었습니다(개요는 다음을 참조하십시오. 비더만 외, 1995). 따라서 여기에서 보고된 휴식을 위해 비디오 게임을 사용하는 동기는 게임을 하는 동안 도파민 방출의 정서적 영향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성인 및 임상 ADHD 환자에 대한 문헌이 적기 때문에 이 아이디어는 추측에 불과합니다. 상관관계 수준에서 WURS-k와 미디어 사용 시간 사이에 상당한 연관성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WURS-k와 시간당 비디오 게임 사용 사이의 상관관계는 실제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여전히 높았습니다. 여기에서 작은 표본 크기와 보수적인 유의 수준이 유의성을 방해했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향적으로 보고된 ADHD 증상이 중독 행동의 구체적인 결과 측정과 관련이 있다는 일부 증거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승된 관계는 흥미롭습니다. 젊은 성인의 대규모 인구 기반 샘플에서 Kollins, McClernon 및 Fuemmeler(2005)는 5~12세 사이에 후향적으로 보고된 ADHD 증상과 하루에 피운 담배 수 사이에 유의미한 선형 관계가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보다 자세하게는 보고된 부주의 증상의 수는 하루에 피우는 담배의 수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습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자가 치료 가설을 뒷받침할 수 있는 데이터에 대한 몇 가지 수렴선을 볼 수 있습니다.

이중 진단 - ADHD 및 IUD

ISS의 병리학적 점수와 CAARS ADHD 측정의 임상적 유의성 점수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소그룹 내에서 우리는 WURS-k와 ISS 사이에 강하고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발견했습니다. 이 관계는 동일한 관계가 약한 ADHD 또는 IUD로 진단된 임상 그룹과 이 하위 그룹을 구별했습니다. 이 발견은 IUD의 시작 및 발달에 대한 예측 인자인 아동기 ADHD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할 수 있습니다.

강점과 한계

이것은 우리가 아는 한 ADHD와 IUD(및 그들의 대조군)로 진단된 환자의 샘플을 비교하여 상호의존성에 대한 추가 증거를 제공하고 이와 관련하여 추가 연구를 자극하는 면밀한 조사를 제공하는 첫 번째 연구입니다. 이 연구는 광범위한 변수와 잘 확립된 도구를 사용하여 관심 있는 몇 가지 구조를 포착하여 여러 연관성을 조사하고 평가할 수 있는 포괄적인 정신측정학적 및 임상적 접근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이것은 단면 연구이기 때문에 우리가 발견한 연관성에 대한 인과적 추론을 할 수 없습니다. ADHD는 일반적으로 7세에 시작되므로 발견된 연관성 중 적어도 일부가 ADHD 증상과 관련이 있는지 추측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ADHD와 IUD 사이의 발달 장애를 조사하고 평가할 때 필수적인 종단적 설계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우리의 해석을 제한하는 또 다른 측면은 부분적으로 누락된 데이터로 인해 상대적으로 작은 표본 크기였습니다. 더욱이 ADHD와 IUD 환자에 대한 특정 임상 진단 검사는 그 반대로 적용되지 않았으며 이는 자가 보고 설문 결과가 반드시 진단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문제가 됩니다. 따라서 우리의 연구 결과는 더 큰 샘플에서 복제될 때까지 주의해서 해석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통계적 차이는 미미했지만 ADHD 그룹이 IUD 그룹보다 나이가 많았습니다. 특히 젊은 세대에서 디지털 미디어 사용이 증가했기 때문에 노인 ADHD 그룹은 인터넷 사용 측면에서 대표성이 없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연구는 어릴 때부터 온라인 미디어에 노출되지 않았을 수 있는 노인들 사이에서도 문제가 있고 병적인 인터넷 사용이 발견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초기의 과도한 미디어 노출이 ADHD 발달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어야 한다면, 우리의 결과는 ADHD 샘플 내에서 이 영향에 대한 보수적인 추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임상 및 과학적 함의

임상적 관점과 동반이환율 증가로 인해 IUD 환자는 ADHD 증상이 나타날 때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ADHD 환자는 예방 전략으로 적당한 인터넷 및 비디오 게임 소비를 운영해야 합니다. 치료 전략으로 Park, Lee, Han(2016)는 atomoxetine 또는 MPH를 사용한 12주 약물이 IGD의 중증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충동성의 감소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주의, 과잉 행동 및 충동의 감소를 목표로 하는 약리학적 및 심리 치료적 접근이 지금까지 가장 유망한 중재일 수 있습니다. ADHD 환자는 일반적으로 다른 중독으로 발전할 위험이 더 높기 때문에 임상의는 치료 전반에 걸쳐 그리고 그 이후에도 중독의 잠재적인 변화를 인식해야 합니다. 한편, 어린 시절의 과도한 미디어 소비가 ADHD 증상을 유발하거나 심화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결론

우리는 ADHD 및/또는 IUD 진단을 받은 환자의 과도한 또는 병리학적 매체 사용이 실제로 일반적이고 실질적인 병리학적 측면이며 치료 및 재활에서 적절하게 다루어져야 한다는 가설에 대한 지지를 찾았습니다. 환자들 사이에서 비디오 게임은 불쾌한 기분 상태를 극복하는 선택적 도구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건강한 사람들 사이에서도 이러한 이유로 인터넷이 활용됩니다. 이것은 특히 휴식을 위해 비디오 게임을 더 많이 사용하는 ADHD 환자의 경우이며, 이는 도파민 기능의 결핍 때문일 수 있습니다. 동반이환율이 현저하기 때문에 향후 연구는 두 장애 사이의 메커니즘을 조사해야 하며 따라서 특히 임상 및 성인 인구에서 종단적 설계를 사용해야 합니다. 임상 개업의는 진단적으로나 치료적으로 두 장애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ADHD 치료의 잘 확립된 원칙은 IUD 환자의 치료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치료 및 재활을 통해 인터넷 사용에 대한 통제력을 회복하려면 의사와 환자 측에서 잠재적인 중독의 변화를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저자의 공헌

BTW: 주 조사관; MB: 데이터 분석 및 제XNUMX저자; MD 및 IP: IUD 환자에 대한 검사; MR 및 MO: ADHD 환자에 대한 검사; LB, TS, JD-H, GRS 및 AM: IUD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춘 공저자.

관심사 충돌

저자는 아무런 이해 상충을 선언하지 않습니다.

참고자료

 미국 정신과 협회. (2000). 정신 장애의 진단 및 통계 매뉴얼(제4판, 본문 개정판). 워싱턴 DC: 미국 정신과 협회.
 미국 정신과 협회. (2013). 정신 장애의 진단 및 통계 매뉴얼 (5th ed.). 버지니아 주 알링턴 : 미국 정신과 협회. CrossRef
 Arfi, L., & Bouvard, M. P. (2008).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 및 비디오 게임: 과잉 행동 및 통제 아동에 대한 비교 연구. 유럽 ​​정신과 협회 저널, 23, 134–141. 도이:https://doi.org/10.1016/j.eurpsy.2007.11.002 CrossRef, MEDLINE
 Beard, K. W., & Wolf, E. M. (2001). 인터넷 중독. 사이버 심리학 및 행동, 4(3), 377–383. 도이:https://doi.org/10.2165/00023210-200822050-00001 CrossRef, MEDLINE
 Beck, A.T., Ward, C.H., Mendelson, M., Mock, J., & Erbaugh, J. (1961). 우울증 측정을 위한 목록. 일반 정신의학 기록 보관소, 4(6), 561–571. 도이:https://doi.org/10.1001/archpsyc.1961.01710120031004 CrossRef, MEDLINE
 Bernardi, S., & Pallanti, S. (2009). 인터넷 중독: 동반 질환 및 해리 증상에 초점을 맞춘 설명적 임상 연구. 종합 정신의학, 50(6), 510–516. 도이:https://doi.org/10.1016/j.comppsych.2008.11.011 CrossRef, MEDLINE
 Biederman, J., Wilens, T., Mick, E., Milberger, S., Spencer, T. J., & Faraone, S. V. (1995).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가 있는 성인의 정신 활성 물질 사용 장애: ADHD와 정신과적 동반이환의 영향.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2(11), 1652–1658. 도이:https://doi.org/10.1176/ajp.152.11.1652 CrossRef, MEDLINE
 Blankenship, R., & Laaser, M. (2004). 성적 중독과 ADHD: 연관성이 있습니까? 성 중독 및 강박, 11(1–2), 7–20. 도이:https://doi.org/10.1080/10720160490458184 CrossRef
 Brook, J. S., Zhang, C., Brook, D. W., & Leukefeld, C. G. (2016). 강박 구매: 이전의 불법 약물 사용, 충동 구매, 우울증 및 성인 ADHD 증상. 정신과 연구, 8(5), 583–592. 도이:https://doi.org/10.1002/aur.1474. 복제.
 Carroll, K. M., & Rounsaville, B. J. (1993). 치료를 원하는 코카인 남용자에서 아동기 주의력 결핍 장애의 역사와 중요성. 종합 정신의학, 34(2), 75–82. 도이:https://doi.org/10.1016/0010-440X(93)90050-E CrossRef, MEDLINE
 Castellanos, F. X., & Tannock, R. (2002).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의 신경 과학: 내피형에 대한 검색. 네이처 리뷰 신경과학, 3(8), 617–628. 도이:https://doi.org/10.1038/nrn896 CrossRef, MEDLINE
 Christiansen, H., Hirsch, O., Abdel-Hamid, M., & Kis, B. (2016). CAARS. Conners 성인 평가 척도. 스위스 베른: Huber.
 Dalbudak, E., & Evren, C. (2014). 터키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 정도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증상의 관계; 성격 특성, 우울증 및 불안의 영향. 종합 정신의학, 55(3), 497–503. 도이:https://doi.org/10.1016/j.comppsych.2013.11.018 CrossRef, MEDLINE
 Derogatis, L.R., & Cleary, P.A. (1977). SCL-90의 치수 구조 확인: 구성 검증에 관한 연구. 임상 심리학 저널, 33, 981–989. 도이:https://doi.org/10.1002/1097-4679(197710)33:4<981::AID-JCLP2270330412>3.0.CO;2-0 CrossRef
 드 위트, H. (2009). 약물 사용의 결정 요인 및 결과로서의 충동성: 기본 프로세스에 대한 검토. 중독 생물학, 14(1), 22–31. 도이:https://doi.org/10.1111/j.1369-1600.2008.00129.x CrossRef, MEDLINE
 다이아몬드, A. (2005). 주의력 결핍 장애(과잉 행동이 없는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과잉 행동 동반)와 신경생물학적 및 행동적으로 구별되는 장애입니다. 발달 및 정신 병리학, 17(3), 807–825. 도이:https://doi.org/10.1017/S0954579405050388 CrossRef, MEDLINE
 Dittmar, H., Long, K., & Bond, R. (2007). 클릭 한 번이면 더 나은 자아가 될 수 있습니다: 물질적 가치, 감정 및 정체성 관련 구매 동기, 온라인 강박적 구매 경향 사이의 연관성. 사회 및 임상 심리학 저널, 26(3), 334–361. 도이:https://doi.org/10.1521/jscp.2007.26.3.334 CrossRef
 Epstein, JN, Johnson, D., & Conners, C. K. (2001). Conners의 DSM-IV(CAADID) 기술 매뉴얼에 대한 성인 ADHD 진단 인터뷰. North Tonawanda, NY: 다중 건강 시스템.
 Franke, G. H. (2016). Symptom-Checklist-90-Revised(SCL-90-R), (2002년 XNUMX월). 북부 슈투트가르트: Hogrefe.
 Friedel, S., Saar, K., Sauer, S., Dempfle, A., Walitza, S., Renner, T., Romanos, M., Freitag, C., Seitz, C., Palmason, H., Scherag, A., Windemuth-Kieselbach, C., Schimmelmann, B. G., Wewetzer, C., Meyer, J., Warnke, A., Lesch, K. P., Reinhardt, R., Herpertz-Dahlmann, B., Linder, M ., Hinney, A., Remschmidt, H., Schäfer, H., Konrad, K., Hübner, N., & Hebebrand, J. (2007). ADHD에서 도파민 수송체 유전자의 대립형질 변이체의 연관성 및 연결. 분자정신의학, 12(10), 923–933. 도이:https://doi.org/10.1038/sj.mp.4001986 CrossRef, MEDLINE
 Gainsbury, S. M., Hing, N., Delfabbro, P. H., & King, D. L. (2014). 소셜 미디어 및 온라인 기술을 통한 도박 및 카지노 게임의 분류. 국제 도박 연구, 14(2), 196–213. 도이:https://doi.org/10.1080/14459795.2014.890634 CrossRef
 Gillberg, C., Gillberg, I. C., Rasmussen, P., Kadesjö, B., Söderström, H., Råstam, M., Johnson, M., Rothenberger, A., & Niklasson, L. (2004). ADHD의 공존 장애 – 진단 및 개입에 대한 시사점. Europea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3(Suppl. 1), 80–92. 도이:https://doi.org/10.1007/s00787-004-1008-4
 Gold, M. S., Blum, K., Oscar-Berman, M., & Braverman, E. R. (2014).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에서 낮은 도파민 기능: 유전자형이 어린이의 조기 진단을 의미해야 합니까? 의학 대학원, 126(1), 153–177. 도이:https://doi.org/10.3810/pgm.2014.01.2735 CrossRef, MEDLINE
 그리피스, MD (1998). 인터넷 중독: 실제로 존재합니까? J. Gackenbach(Ed.), 심리학 및 인터넷: 개인 내, 대인 관계 및 초개인적 의미(pp. 61–75). 샌디에고, 캘리포니아: 학술 출판부.
 Hahn, A., & 예루살렘, M. (2003). Reliabilität und Validität in der Online-Forschung Marktforschung und Probleme Online [온라인 연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In Theobald, A., Dreyer, M., & Starsetzki, T. (Eds.), 온라인 시장 조사(2nd ed.). 독일 비스바덴: 가블러.
 한, A., & 예루살렘, M. (2010). Die Internetsuchtskala(ISS): Psychometrische Eigenschaften und Validität [인터넷 중독 척도(ISS): 심리 측정 기능 및 유효성]. In Mücken, D., Teske, A., Rehbein, F., & te Wildt, B. T. (Eds.), Prävention, Diagnostik Und Therapie von Computerspielabhängigkeit [비디오 게임 중독의 예방, 진단 및 치료](pp. 185–204 ). Lengerich, 독일: Pabst Science Publishers.
 Han, D. H., Lee, Y. S., Na, C., Ahn, J. Y., Chung, U. S., Daniels, M. A., Haws, C. A., & Renshaw, P. F. (2009).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가 있는 어린이의 인터넷 비디오 게임 플레이에 대한 메틸페니데이트의 효과. 종합 정신의학, 50(3), 251–256. 도이:https://doi.org/10.1016/j.comppsych.2008.08.011 CrossRef, MEDLINE
 Hautzinger, M., Keller, F., & Kühner, C. (2006). Das Beck Depressions inventar II. Deutsche Bearbeitung und Handbuch zum BDI-II [Beck Depression Inventory II. BDI-II의 독일어판 및 핸드북]. 영국 런던: 피어슨.
 Kessler, R. C., Adler, L. A., Barkley, R., Biederman, J., Conners, C. K., Faraone, S. V., Greenhill, L. L., Jaeger, S., Secnik, K., Spencer, T., Ustün, T. B., & Zaslavsky, A. M. (2005).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의 패턴 및 예측인자: 국가 동반이환 조사 복제 결과. 생물학적 정신의학, 57(11), 1442–1451. 도이:https://doi.org/10.1016/j.biopsych.2005.04.001 CrossRef, MEDLINE
 Ko, C.-H., Yen, J.-Y., Chen, C.-S., Chen, C.-C., & Yen, C.-F. (2008). 대학생 인터넷 중독의 정신과적 동반이환: 면담연구. CNS 스펙트럼, 13(2), 147–53. 에서 검색 http://www.ncbi.nlm.nih.gov/pubmed/18227746 CrossRef, MEDLINE
 고찬희, 옌, J. 와이, 옌, C. F., 첸, C. S., & 첸, C. C. (2012). 인터넷 중독과 정신질환의 연관성: 문헌 고찰. 유럽 ​​정신의학, 27(1), 1–8. 도이:https://doi.org/10.1016/j.eurpsy.2010.04.011 CrossRef, MEDLINE
 Koepp, M. J., Gunn, R. N., Lawrence, A. D., Cunningham, V. J., Dagher, A., Jones, T., Brooks, D. J., Bench, C. J., & Grasby, P. M. (1998). 비디오 게임 중 선조체 도파민 방출에 대한 증거. 자연, 393(6682), 266–268. 도이:https://doi.org/10.1038/30498 CrossRef, MEDLINE
 Kollins, S. H., McClernon, F. J. 및 Fuemmeler, B. F. (2005). 젊은 성인의 인구 기반 표본에서 흡연과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 증상 사이의 연관성. 일반 정신 의학 기록 보관소, 62(10), 1142–1147. 도이:https://doi.org/10.1001/archpsyc.62.10.1142 CrossRef, MEDLINE
 Kühner, C., Bürger, C., Keller, F., & Hautzinger, M. (2007). Reliabilität und validität des revidierten Beck-Depressions-inventars(BDI-II). Befunde aus deutschsprachigen stichproben [개정된 Beck Depression Inventory(BDI-II)의 신뢰성과 타당성. 독일 코호트의 결과]. Nervenarzt, 78(6), 651–656. 도이:https://doi.org/10.1007/s00115-006-2098-7 MEDLINE
 Lau, H. M., Smit, J. H., Fleming, T. M., & Riper, H. (2017). 정신 건강을 위한 진지한 게임: 접근 가능하고 실행 가능하며 효과적인가? 체계적인 검토 및 메타 분석. 정신과의 개척자, 7, 209. doi:https://doi.org/10.3389/fpsyt.2016.00209 CrossRef, MEDLINE
 Lehrl, S., Triebig, G., & Fischer, B. (1995). 선다형 어휘 테스트 MWT는 병전 지능을 추정하기 위한 유효하고 짧은 테스트입니다. Acta Neurologica Scandinavica, 91(5), 335–345. 도이:https://doi.org/10.1111/j.1600 CrossRef, MEDLINE
 메이시, K. (2003). Conners의 성인 ADHD 평가 척도(CAARS). CK Conners, D. Erhardt, MA Sparrow 작성. New York: Multihealth Systems, Inc., 1999. 임상 신경 심리학 기록 보관소, 18(4), 431–437. 도이:https://doi.org/10.1016/S0887-6177(03)00021-0 CrossRef
 Miller, C. J., Marks, D. J., Miller, S. R., Berwid, O. G., Kera, E. C., Santra, A., & Halperin, J. M. (2007). 간략한 보고서: 미취학 아동의 주의력 문제에 대한 텔레비전 시청 및 위험. 소아 심리학 저널, 32(4), 448–452. 도이:https://doi.org/10.1093/jpepsy/jsl035 CrossRef, MEDLINE
 Ohlmeier, M. D., Peters, K., Kordon, A., Seifert, J., te Wildt, B., Wiese, B., Ziegenbein, M., Emrich, H. M., & Schneider, U. (2007). ADHD(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가 동반된 환자의 니코틴 및 알코올 의존성. 알코올 및 알코올 중독, 42(6), 539–543. 도이:https://doi.org/10.1093/alcalc/agm069 CrossRef, MEDLINE
 박정호, 이영수, 한동현(2016).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가 있는 청소년의 문제가 있는 온라인 게임에 대한 atomoxetine과 methylphenidate의 효과. 인간 정신약리학, 31(6), 427–432. 도이:https://doi.org/10.1002/hup.2559 CrossRef, MEDLINE
 Petry, N. M., & O'Brien, C. P. (2013). 인터넷 게임 장애 및 DSM-5. 중독, 108 (7), 1186–1187. doi :https://doi.org/10.1111/add.12162 CrossRef, MEDLINE
 Rehbein, F., Kliem, S., Baier, D., Mößle, T., & Petry, N. M. (2015). 독일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장애 유병률: 주 전체를 대표하는 표본에서 5가지 DSM-110 기준의 진단적 기여도. 중독, 5(842), 851–XNUMX. 도이:https://doi.org/10.1111/add.12849 CrossRef, MEDLINE
 Retz-Junginger, P., Retz, W., Blocher, D., Stieglitz, R. D., Georg, T., Supprian, T., Wender, P. H., & Rösler, M. (2003). Reliabilitätt und Validität der Wender-Utah-Rating-Scale-Kurzform: Retrospektive erfassung von 증상en aus dem spektrum der aufmerksamkeitsdefizit/hyperaktivitätsstörung [간단한 버전의 Wender Utah Rating Scale의 신뢰성 및 타당성: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스펙트럼의 증상에 대한 회고적 평가] . Nervenarzt, 74(11), 987–993. 도이:https://doi.org/10.1007/s00115-002-1447-4 MEDLINE
 Retz-Junginger, P., Retz, W., Blocher, D., Weijers, H. G., Trott, G. E., Wender, P. H., & Rössler, M. (2002). Wender Utah 등급 척도(WURS-k): Die deutsche kurzform zur retrospektiven erfassung des hyperkinetischen syndroms bei erwachsenen [Wender Utah 등급 척도(WURS-k): 성인의 과잉 행동 증후군 증상에 대한 후향적 평가를 위한 독일어 약식 버전]. Nervenarzt, 73(9), 830–838. 도이:https://doi.org/10.1007/s00115-001-1215-x MEDLINE
 Schmitz, N., Hartkamp, ​​N., Kiuse, J., Franke, G. H., Reister, G., & Tress, W. (2000). The Symptom Check-list-90-R (SCL-90-R): 독일 검증 연구. 삶의 질 연구, 9(2), 185–193. 도이:https://doi.org/10.1023/A:1008931926181 CrossRef, MEDLINE
 Skues, J., Williams, B., Oldmeadow, J., & Wise, L. (2016). 지루함, 외로움, 괴로움에 대한 내성이 대학생의 인터넷 사용 문제에 미치는 영향. 국제 정신 건강 및 중독 저널, 14(2), 167–180. CrossRef
 Swing, E. L., Gentile, D. A., Anderson, C. A., & Walsh, D. A. (2010). 텔레비전 및 비디오 게임 노출 및 주의력 문제의 발달. 소아과, 126(2), 214–221. 도이:https://doi.org/10.1542/peds.2009-1508 CrossRef, MEDLINE
 van de Glind, G., Konstenius, M., Koeter, M. W., van Emmerik-van Oortmerssen, K., Carpentier, P. J., Kaye, S., Degenhardt, L., Skutle, A., Franck, J., Bu , E.-T., Moggi, F., Dom, G., Verspreet, S., Demetrovics, Z., Kapitány-Fövény, M., Fatséas, M., Auriacombe, I. M., Schillinger, I. A., Møller, M ., Johnson, B., Faraone, S. V., Ramos-Quiroga, A., Casas, M., Allsop, S., Carruthers, S., Schoevers, R. A., Wallhed, S., Barta, C., Alleman, P ., Levin, F. R., van den Brink, W., & IASP 연구 그룹. (2014). 약물 사용 장애 환자를 찾는 치료에서 성인 ADHD 유병률의 가변성: DSM-IV 및 DSM-5 기준을 탐색하는 국제 다기관 연구 결과. 약물 및 알코올 의존, 134, 158–166. 도이:https://doi.org/10.1016/j.drugalcdep.2013.09.026 CrossRef, MEDLINE
 Van der Oord, S., Prins, P. J. M., Oosterlaan, J., & Emmelkamp, ​​P. M. G. (2008). ADHD가 있는 학령기 아동에서 메틸페니데이트, 심리사회적 치료 및 이들의 조합의 효능: 메타 분석. 임상 심리학 리뷰, 28(5), 783–800. 도이:https://doi.org/10.1016/j.cpr.2007.10.007 CrossRef, MEDLINE
 van Emmerik-van Oortmerssen, K., Glind, G., Koeter, M. W., Allsop, S., Auriacombe, M., Barta, C., Bu, E. T., Burren, Y., Carpentier, P. J., Carruthers, S. , Casas, M., Demetrovics, Z., Dom, G., Faraone, S. V., Fatseas, M., Franck, J., Johnson, B., Kapitány-Fövény, M., Kaye, S., Konstenius, M ., Levin, F. R., Moggi, F., Møller, M., Ramos-Quiroga, J. A., Schillinger, A., Skutle, A., Verspreet, S., IASP Research Group, van den Brink, W., & Schoevers , R. A. (2014).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가 있거나 없는 치료 추구 물질 사용 장애 환자의 정신과적 동반이환: IASP 연구 결과. 중독, 109(2), 262–272. 도이:https://doi.org/10.1111/add.12370 CrossRef, MEDLINE
 Volkow, N. D., Wang, G.-J., Kollins, S. H., Wigal, T. L., Newcorn, J. H., Telang, F., Fowler, J. S., Zhu, W., Logan, J., Ma, Y., Pradhan, K., Wong, C., & Swanson, J. M. (2009). ADHD에서 도파민 보상 경로 평가: 임상적 의미. JAMA, 302(10), 1084–1091. 도이:https://doi.org/10.1001/jama.2009.1308 CrossRef, MEDLINE
 Weinstein, A., & Weizman, A. (2012). 중독성 게임과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 사이의 새로운 연관성. 현재 정신의학 보고서, 14(5), 590–597. 도이:https://doi.org/10.1007/s11920-012-0311-x CrossRef, MEDLINE
 Weiss, M. D., Baer, ​​S., Allan, B. A., Saran, K., & Schibuk, H. (2011). 스크린 문화: ADHD에 미치는 영향. ADHD 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 장애, 3(4), 327–334. 도이:https://doi.org/10.1007/s12402-011-0065-z CrossRef
 Wilens, T. E., Vitulano, M., Upadhyaya, H., Adamson, J., Sawtelle, R., Utzinger, L., & Biederman, J. (2008).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와 관련된 흡연. 소아과 저널, 153(3), 414–419. 도이:https://doi.org/10.1016/j.jpeds.2008.04.030 CrossRef, MEDLINE
 Winstanley, C. A., Eagle, D. M., & Robbins, T. W. (2006). ADHD와 관련된 충동의 행동 모델: 임상 및 전임상 연구 간의 번역. 임상 심리학 검토, 26(4), 379–395. 도이:https://doi.org/10.1016/j.cpr.2006.01.001 CrossRef, MEDLINE
 세계보건기구. (1992). 정신 및 행동 장애의 ICD-10 분류: 임상 설명 및 진단 지침. 스위스 제네바: 세계보건기구.
 Yen, J., Liu, T., Wang, P., Chen, C., Yen, C., & Ko, C. (2017). 인터넷게임장애와 성인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의 중독행동 연관성과 충동성과 적개심. 중독성 행동, 64, 308–313. 도이:https://doi.org/10.1016/j.addbeh.2016.04.024 CrossRef, MEDLINE
 Yen, J.-Y., Yen, C.-F., Chen, C.-S., Tang, T.-C., & Ko, C.-H. (2008). 대학생의 성인 ADHD 증상과 인터넷 중독과의 연관성: 성별 차이. 사이버 심리학 및 행동, 12(2), 187–191. 도이:https://doi.org/10.1089/cpb.2008.0113 CrossRef
 영경(1996). 인터넷 중독: 새로운 임상 장애의 출현. 사이버 심리학 및 행동, 1(3), 237–244. CrossRef
 Young, K. S. (1998). 그물에 걸렸다: 인터넷 중독의 징후를 인식하는 방법과 회복을 위한 승리 전략. 뉴욕, 뉴욕: John Wiley & Sons.
 Young, K. S. (2008). 인터넷 성 중독 위험 요소, 발달 단계 및 치료. 미국 행동 과학자, 52 (1), 21–37. doi :https://doi.org/10.1177/0002764208321339 CrossRef